'시운전' 들어간 신한울 2호기…"원전 생태계 복원 속도 낸다"

신한울 2호기 시운전 거쳐 내년 상반기 상업운전
신한울 3·4호기도 건설 재개…내년 원전 예산 두 배↑

신한울 1·2호기 발전소 전경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2022.11.07 /뉴스1

(세종=뉴스1) 이정현 기자 =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소외받던 원전업계의 위상이 달라졌다. 5년 넘게 안정성 평가가 늦어지면서 개점 휴업상태였던 신한울 2호기 가동이 결정됐고, 신한울 3·4호기 건설도 재개됐다.

여기에 정부가 내년도 원전 관련 예산을 두 배 가까이 늘리면서 '원전 생태계 복원'이 속도를 내고 있다.

10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7일 183회 회의를 열고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2호기 운영허가(안)'를 의결했다.

신한울 2호기는 2010년 1호기와 함께 부지 정지 작업을 시작으로 착공, 2015년 원자로가 설치됐다. 이번 운영허가는 착공 기준으로 13년 만이다.

허가에 따라 신한울 2호기는 핵연료를 장전하고 시운전을 통한 안전 확인 등 상업운전 준비에 들어간다. 앞으로 6달 동안 시운전을 거쳐 내년 상반기 상업 가동할 예정이다. 신한울 2호기는 1400㎿급의 발전 용량을 가지고 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공사도 재개된 상태다. 현재 한국수력원자력은 부지 정지 공사에 착수했다. 부지 정지는 본격 건설에 앞서 터를 다지는 작업이다.

지난 2017년 건설이 중단됐던 신한울 3·4호기는 지난해 7월 정부 에너지정책 방향에서 사업재개가 결정됐다. 이후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됨에 따라 지난 3월 주기기 계약을 체결하는 등 속도감 있게 건설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전원개발촉진법에 따라 산업부로부터 신한울 3·4호기 사업을 위한 실시계획을 승인 받았다.

현재는 건설허가 심사절차가 진행 중이다. 심사가 완료된 이후 규제기관으로부터 건설허가를 취득하게 되면 원자로 시설 설치를 위한 기초굴착 등 본격적인 공사가 진행된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에너지정책 기조가 급변하면서 원전 관련 예산도 껑충 뛰었다.

기획재정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2024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전력산업기반기금(전력기금) 사업 설명자료'를 보면 전력기금 내 원전 관련 예산은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예산을 제외하면 올해 1081억원이었는데, 내년에는 2603억원(141.0%↑)으로 증액했다.

또 원전 생태계 금융지원사업에 1000억원, 원전 수출보증에 250억원을 새로 지원한다. 혁신형소형모듈원자로(i-SMR) R&D 사업 예산도 올해 39억원에서 내년 333억원으로 늘렸다.

지난 정부에서 침체를 겪었던 원전 생태계 복원을 위한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산업부는 지난달 29일 연 '원전 수출일감 통합 설명회'에서 이집트 엘다바 기자재 공급을 오는 10~12월 발주해 내년 4~6월에는 계약을 종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기자재 공급은 올 11월부터 내년 6월가지 발주해 내년 2~12월까지는 계약을 종료하기로 했다. 과거 건설이 완료된 국내 원전은 기자재 발주부터 계약종료까지 1년 이상이 소요됐는데, 이를 반년가량 줄이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동시에 원전 설비 수출에 나서는 기업들의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당장 한수원 협력업체 215곳의 해외사업 유자격 심사를 면제하기로 했다. 당초 한수원 해외사업에서는 경영 품질 기술 등 세 분야의 심사를 통과해 해외사업 유자격 공급사로 등록돼야 입찰에 참여할 수 있었던 부담을 완화한 것이다.

원전업계 한 관계자는 "잇딴 해외사업 수주 소식에 더해 시장에 일감 공급 신호만으로도 현장에는 활기가 돌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강경성 산업부 2차관은 "2023년이 원전 생태계 정상화의 원년이 되도록 총력을 다해 지원하겠다"며 "2027년까지 5조원 규모의 해외 원전설비 프로젝트 수주, 2030년까지 10기 원전 수출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euni121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