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통화정책만으로 물가·금융안정 어려워…통합 정책 필요"

8월 인하 실기론에 "그때 인하했으면 가계부채 컨트롤 어려웠을 것"
"외환 보유액 4000억 달러 충분해…IMF, 韓 보유 수준 정성평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Integrated Policy Framework : 한국 통화정책에의 적용'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4.12.23/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세종=뉴스1) 김유승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비기축통화국은 통화정책만으로 물가 안정과 금융 안정을 함께 달성하기 어렵다"며 "거시건전성 정책, 외환시장 개입 등 다양한 정책 수단을 활용한 통합적 정책체계를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한국국제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에 참석해 '통합적 정책체계: 한국 통화정책 적용'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기축통화국은 글로벌 금융상황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자본이동과 환율의 변동성이 크고, 외환시장에서 최종대부자 역할도 제한돼 있다"며 "국제통화기금(IMF), 국제결제은행(BIS) 등 국제기구는 비기축통화국들이 다양한 정책 수단을 조합하는 통합적 정책체계(IPF·Integrated Policy Framework)를 활용해 물가 안정과 금융 안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고 분석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8월 금리 인하 실기론에 대해선 "한은 직원들이 6~7월 데이터를 보고 9월부터 가계부채가 9조 원 늘어날 것이라 예측했는데 실제로 그 이후 가계부채가 9조 원을 넘었다"며 "그 당시(8월)에 금리를 낮췄다면 가계부채와 부동산을 컨트롤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그때 쉬어간 것이 10월과 11월에 금리를 두 번 연속 낮출 수 있을 여력을 준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외환시장 개입과 관련해선 "지난 2022년 하반기 달러·원 환율이 1400원을 상회하는 등 단기간 급등했지만 과거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었던 건 4000억 달러를 상회하는 외환보유액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거주자의 해외투자도 증가하면서 우리나라는 2014년 이후 순대외자산국으로 전환돼 환율 상승으로 인한 부도 위험이나 금융위기 가능성이 크게 축소됐다크게 축소됐다"고 했다.

이어 "IMF는 이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수준을 신흥국과 같이 정량평가하지 않고, 정성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며 "2023년 이후 신흥국을 대상으로 적용해 온 외환보유액 적정성 평가에서 우리나라를 제외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ky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