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관리 핵심기술 개발에 5년간 4100억 투자…물시장 2028년 60조원 목표
'제2차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 기본계획' 확정
물산업 해외수출 지원 및 맞춤형 인재 육성에도 집중
- 심언기 기자
(세종=뉴스1) 심언기 기자 = 정부가 향후 5년간 핵심 물관리 기술 개발에 4100억 원을 투자하고, 47조 원 규모의 물시장을 2028년까지 60조 원 규모로 성장시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15일 이우일 부의장 주재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7회 심의회의'를 개최하고 환경부 소관 '제2차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 기본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제2차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 기본계획은 2024~2028년 물관리기술 및 물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방향과 그에 따른 추진전략 및 중점 추진과제 등을 제시하는 법정계획이다.
제1차 기본계획에 따라 실증화 시설인 국가물산업클러스터 구축‧운영, 혁신형 물기업 육성 등 물산업 도약의 토대를 마련했고, 이번 제2차 기본계획은 제1차 계획의 추진 성과를 바탕으로 주요 국정과제와 대내·외 환경변화 등을 반영해 수립됐다.
'미래 핵심 물관리기술 선점을 통한 물산업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제2차 기본계획은 △미래 물산업 견인 핵심 기술 개발 △물시장 2028년 60조 원 육성 △물산업 해외수출 2028년 5.5조 원 확대 △맞춤형 인재 육성 등 4대 중점전략을 담고 있다.
우선 기후변화에 따라 빈번해지는 홍수·가뭄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약 4100억 원을 물관리 기술개발에 중점 투자한다. 수량 등 수자원 정보를 디지털기술로 관리하고, 집중호우시 하류의 하천 상황을 고려한 댐 방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댐-하천 가상모형'(디지털트윈) 도입 등 기술이 대표적이다.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상·하수도 시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물관리 등에도 지원이 집중된다.
현재 47조 원 규모의 물시장을 2028년까지 60조 원 규모로 키워나가기 위한 신산업 육성 및 물산업 혁신 성장에도 힘을 쏟는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공정에 필수적인 초순수(모든 불순물을 제거한 물) 기술 국산화를 지원하는 '초순수 플랫폼 센터 조성'을 추진하고, 댐의 차가운 용수를 데이터센터 냉각에 활용해 전력 소비를 줄이는 수열에너지 클러스터 등 물-에너지 융복합 산업을 육성한다. 혁신 유망기술 보유기업에 대한 사업자금 지원도 병행할 방침이다.
물산업 해외진출 확대를 위해 △현지 인증·검증 및 실증 지원 △개발기업 맞춤형 수출전략 상담 △수출활동 자금지원 등을 통해 3조 원 규모의 수출액을 5조5000억 원 규모로 확대시켜 나간다. 개발도상국의 물관리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공적개발원조(ODA)를 확대하면서 자연스럽게 우리나라 물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사업도 발굴할 계획이다.
특히 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 위주의 수주·수출에서 벗어나 상하수도 분야에 대규모로 투자하고 있는 선진국 시장 개척에도 힘을 쏟을 예정이다. 미국 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미국 환경국가표준 인증(NSF) 취득을 대행하는 서비스 및 선진국 15개 인증에 대한 국내 사전 시험서비스를 제공한다. 수주지원단은 기업의 해외 수주를 밀착 지원한다.
현장 중심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해외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도 확대한다. 또한 초순수·물에너지 및 첨단 물관리 등에 관한 교육과정을 운영해 미래 물산업을 견인할 융합형 혁신 인재를 집중적으로 양성한다. 물시장 성장과 인력양성을 통해 2021년 20만 명의 종사자를 2028년 23만 명으로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제2차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통해 핵심 물관리기술 및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고부가가치 물산업을 육성하여 물산업 수출 강국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eonki@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