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10명 중 7명은 당뇨병인지 몰라…체계적인 지원책 필요"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 "청년 당뇨병 사각지대 해소해야"
과거 '소아·청소년·청년 당뇨병 환자 지원법' 대표 발의
- 김정은 기자

(서울=뉴스1) 김정은 기자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은 청년층 당뇨병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31일 강조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출한 '2023년 건강보험 급여비 상위 질환' 자료에 따르면 당뇨병은 치주염, 고혈압, 요실금에 이어 급여비 지출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금까지 당뇨병은 주로 고령자 중심의 질환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광범위한 연령층에서 발생하면서 중대한 건강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대한당뇨병학회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국내 노인당뇨병과 청년당뇨병 현황' 분석자료에 따르면 19~39세 청년층 환자는 약 30만 명에 이르지만, 이 중 본인이 당뇨병이라는 사실을 인지하는 비율은 43.3% 정도다. 실제 치료를 받는 환자는 34.6%에 그쳤다.
앞서 김 의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아·청소년·청년 당뇨병 환자 지원법'을 대표로 발의한 바 있다.
이 법안은 당뇨병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 제고를 촉진하고, 소아부터 청년까지 포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 의원은 "당뇨병이 특정 연령층에만 국한된 질병이라는 인식은 더 이상 현실에 맞지 않는다"며 "급변하는 식습관과 생활환경 변화 등으로 청년층 당뇨병이 증가하는 만큼 이들의 건강권 보장과 사회적 차별 방지를 위한 지속적·체계적인 지원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derland@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