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의대 졸업생 3%, 의사과학자로 양성…867억 투입"
'2025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수료식, 간담회
- 강승지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연구실에서 연구하거나, 병원 근무를 하며 연구를 병행하는 '의사과학자' 양성에 정부가 올해 867억 원을 투입한다. 앞으로 의대 졸업생 3%는 의사과학자로 길러낸다는 구상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7일 오전 서울 용산구 나인트리 로카우스 호텔에서 '2025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수료식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의사과학자(MD-Ph.D)는 임상 현장의 수요를 기술 개발로 연결해 바이오-메디컬 산업을 견인하고 국민 건강 증진을 끌어낼 수 있는 핵심인력이다.
복지부는 지난 2019년부터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을 지원해 현재까지 총 68명의 의사과학자(MD-Ph.D)를 배출했다.
배출된 이들은 서울대학교·하버드대학교 등 국내·외 연구실에서 연구하거나,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연구를 병행, 또는 개인 창업을 통해 각자의 진로를 이어나가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의사과학자 배출 수준을 연간 의대 졸업생의 1.6%에서 선진국 수준인 3%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학부부터 석·박사, 박사 후 연구 성장지원(신진·심화·리더 최대 11년), 글로벌 공동연구지원 등 보건의료분야 특화 융·복합 혁신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지원한다.
정부는 올해 의사과학자 양성에 총 867억 원을 투입, 학부 3개소 및 대학원 5개 컨소시엄과 석·박사 신규 80여 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박사학위를 딴 의사과학자가 독립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92명을 지원(신진 40명, 심화 30명, 리더 22명)하고, 이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31개 과제를 선발할 예정이다.
이번 수료식에서는 전일제(Full-time) 박사학위 과정을 통해 기초의학, 공학 등 학위과정을 거치며 연구역량을 갖춘 의사과학자(MD-Ph.D) 28명에게 수료증을 전달했다.
또 행사에 참석한 11명의 수료생이 학위과정 참여 소감 및 연구 경험 등을 공유했다.
한 수료생은 "임상의로서 환자를 보는 것도 즐거웠지만, 기초연구의 경우 가설을 세운 대로 직접 증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느꼈다"고 말했다.
이 수료생은 앞으로 기초의학도로서 학교에 남아 연구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다만 가능하다면 임상과 기초 연구를 병행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특히 이 수료생은 '개인 맞춤형 장기칩을 이용한 알츠하이머병의 장-신경-뇌 축 기전 연구'를 진행해, 논문 게재와 특허 출허를 완료한 상황이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의사과학자가 다양한 영역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이어나가겠다"고 전했다.
ks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