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현정의 준비된 노후]지역사회 통합돌봄, 온 사회가 포옹해야

김현정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교수 = 우리 사회는 초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2026년 의료와 돌봄이 결합한 지역사회 '통합돌봄'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는 병원 중심의 치료(cure)에서 벗어나 지역 내에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care)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현장엔 많은 관계자가 얽혀 있으며, 이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더구나 통합돌봄에 대한 재정확보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돌봄의 기본이 되는 간호이론을 통해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바람직한 방향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헨더슨(Virginia Henderson, 1897~1996년)은 간호를 개인이 건강을 회복하고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으로 정의했으며 그 실천 방안으로 14가지 기본 요구를 내놨다. 이는 △호흡 △영양△배설 △운동 △수면 등 생리적 부분은 물론, △의복 및 침구 △적절한 온습도의 주거환경 △개인위생 및 욕창 예방△사고(낙상) 및 감염 예방 △의사소통 △생산적 노동△놀이와 여가 활동 △새로운 것을 배우며 자아실현 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현재 통합돌봄은 보건복지부 중심으로 운영하지만, 돌봄을 생활환경까지 넓힌다면 노인·장애인의 복지주택 업무를 담당하는 국토교통부의 역할도 필수적이다. 인간은 기본적인 의식주뿐만 아니라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적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선 지자체, 정부 담당 부처, 지역사회 구성원의 적극적인 협력도 필수다.

오렘(Dorothea Orem, 1914~2007년)의 스스로 돌봄(자가) 간호이론은 간호를 환자가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돌볼 수 있도록 돕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이는 지역사회에서 의료 서비스 의존도를 줄이고, 개인이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돌봄의 핵심 원칙과 같다. 통합돌봄에서 방문간호사들은 환자의 자가 돌봄 능력을 평가하고, 필요한 교육과 지원을 제공해 자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고령자의 자가 돌봄 능력이 강화되면 국민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의 지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책 연구나 실증 사업, 더 나아가 경제성 분석은 요원한 실정이다.
로이(Callista Roy, 1939년~)의 적응이론에선 인간을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존재로 정의하며, 간호는 환자가 신체적·심리적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이라고 본다. 지역사회 통합돌봄에서는 고령자와 만성질환자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가용한 자원을 활용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통해 신체·정신적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돕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지역사회 정신건강 관리에서 핵심적인 간호이론이다.
뉴먼(Betty Neuman, 1924년~)의 건강관리 시스템 이론은 환자를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이 상호 작용하는 개방된 시스템으로 보고, 간호의 목표를 스트레스 예방과 건강유지로 설정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만성질환 예방이 치료보다 최대 4배 더 경제적이라고 본다. 건강검진이 1인당 연간 의료비를 20~30% 줄이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예방 중심 정책은 질병 발생을 줄여 의료비 절감을 유도하고 조기 개입을 통해 치료 비용 부담을 낮춰 장기적으로 경제성이 높다. 지역사회 통합돌봄에서 예방적 건강관리 활동이 중요하다는 이론적 근거다.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단순한 한 방향 의료 서비스 제공을 넘어 지역 주민이 건강한 삶을 스스로 오랫동안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포괄적인 돌봄 방식이다. 돌봄 체계에서는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뿐만 아니라 요양보호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치위생사 등 현장에서 직접 돌봄을 제공하는 돌봄 제공자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내년 시행될 지역사회 통합돌봄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부, 의료기관, 지역사회와 이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지속 가능한 한국형 예방 중심 돌봄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살아 있고 성장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현장의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하며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시행·조정하는 지속적인 활동(iteration)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이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때,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더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