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시설 노인 86.8%, 수면제 등 중추신경계 약물 복용

"항정신병제 장기복용 유추…세심한 투약과 관찰 필요"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우리나라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86.8%는 마약성진통제, 항불안제, 수면·진정제, 항우울제 같은 중추신경계용 약물을 복용 중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인들이 필요하지도 않은데 장기간 여러 약을 복용하고 있을 거란 우려가 제기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22일 '2024년 한국보건사회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국내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률이 86.8%에 이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연구는 지난해 장기요양수급자(시설수급자 18만7077명, 재가수급자 70만4109명)를 대상으로, 복용일 기준을 연간 1일과 28일로 나눠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환자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전체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 중 연간 1일 이상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환자 비중은 79.2%였으며, 이 중 시설수급자의 약물복용 비율이 86.8%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환자 비율(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시설수급자와 재가수급자 중 중추신경계용 약물 1일 이상 복용환자 비율은 각각 86.8%, 77.2%로 시설수급자에서 사용 비중이 9.6%p(포인트) 더 높았다.

연간 28일 이상 사용자를 대상으로 했을 때, 시설수급자와 재가수급자의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환자 비율은 각각 76.7%, 56.6%로 20.1%p의 차이를 보여 재가수급자보다 시설수급자에서 중추신경계용 약물의 장기복용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시설수급자에서 1일 이상 복용률이 가장 높은 약물군은 마약성진통제(57.6%)와 항정신병제(53.2%)로 나타났으며, 연간 28일 이상 복용 건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항정신병제(50.7%), 항우울제(33.3%) 순으로 높았다.

약물군별로 보면 마약성진통제의 경우 연간 1일 이상 복용률(57.6%)에 비해 28일 이상 복용률(27.3%)이 크게 감소한 반면, 항정신병제는 연간 1일이상 복용률(53.2%)과 28일 이상 복용률(50.7%)에 큰 차이가 없어 대다수 환자의 장기복용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시설수급 노인에서 항정신병제의 사용률이 높아 서로 다른 중추신경계용 약물군이 병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 환자에서 서로 다른 약물군이 각각 180일 이상 처방된 경우를 병용이라고 간주했을 때 항정신병제와 항우울제의 병용은 15.3%, 항정신병제와 항불안제의 병용은 10.2%의 환자에서 관찰됐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의 이정석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마약성진통제, 항정신병제, 항불안제, 수면진정제, 항우울제 등 중추신경계용 약물은 중독과 의존, 낙상 및 골절위험,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교수는 "필요한 경우에 한해 세심하게 투약하고 상태를 관찰하여 조정해야 하는 약물이지만 장기요양시설의 인력과 전문성 부족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변진옥 건강보험연구원 보험정책연구실장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최근 우리나라 장기요양 시설수급노인의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률이 31.7~78% 수준인 외국에 비해 높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공단은 내년부터 다제약물관리사업에 장기요양시설 모형을 신설해 약물관리가 필요한 장기요양시설 입소자에게 약물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ksj@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