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사람 인플루엔자 위험↑…정부 "대유행 대비 백신 개발 지속"(종합)
"이르면 100일 내 백신 개발"…표본 감시 기관도 확대
질병청, 신종 인플루엔자 대비·대응 계획 발표
- 김규빈 기자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방역당국이 제2의 팬데믹을 막기 위해 향후 신종 인플루엔자 발생 시 100일 안에 백신을 개발하고, 표본 감시 의료기관을 300개에서 1000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6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 2006년 마련되어 2011년과 2018년 두 차례 개정된 이래 6년 만에 전면 개정하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다음 팬데믹으로 신종인플루엔자를 유력하게 지목하고, 국가 계획으로 준비해야 할 중점과제로 권고한 사항을 반영한 것이다.
◇동물-사람 간 감염 증가세…조류인플루엔자, 2003년부터 907건 발생
질병청은 최근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이 지속 보고되는 등 위험수위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을철 철새 유입 등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위험이 시작되기 전에 선제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2003년 이후 24개국에서 907건의 조류 인플루엔자 A(H5N1)형 인체감염이 보고됐다. 최근에는 지난 4월 미국에서 소에서 사람에 감염이 된 사례가, 지난 3월에는 베트남에서 조류인플루엔자에 감염된 사람이 사망하기도 했다.
먼저 질병청은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의 피해규모를 예측한 결과 전파율과 치명률이 높을 경우 111일만에 유행 정점을 찍고 300일 내 인구 대비 최대 약 40%가 감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유행 정점시기를 111일에서 190일까지 늦추고, 정점일 때 환자를 35%까지 줄인다는 목표다.
이번 계획에는 감시체계, 자원 확보, 백신 전략 및 원헬스 통합관리체계 구축과 유행 발생 시의 시기별(초기-확산기-회복기) 대응 전략을 담고 있다.
국내 감시를 위해서는 표본감시 의료기관을 300개소에서 1000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병원체 유전자 분석을 위한 실험실 감시도 현 180개소에서 200개소로 확대하고, 조류인플루엔자를 확인하기 위한 의료기관과 공공검사기관 간 연계도 강화한다. 응급실·외래로 내원하는 호흡기감염 환자 대상 원인 미상 감시체계를 신설하게 된다.
이번 계획 마련에 참여한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의원급이나 병원급 의료기관, 응급실 등에 여러 감시 체계가 설립된 상태이지만 더 많은 의료기관이 참여할수록 인플루엔자 유행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며 "더 많은 예산이 투입되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민간과 협업해 인공지능과 수리‧통계를 활용한 다학제적 예측모형을 개발하여 유행 단계별 환자 발생 예측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인플루엔자 초기 6개월 대응 가능하도록 전 국민 대비 25% 수준의 치료제를 비축하고, 보호구와 마스크 등 방역물자도 비축해 신속공급이 가능하도록 비축할 예정이다.
◇유행 발생시 백신 100일내 개발…2028년까지 mRNA 백신 플랫폼 확보
신속진단을 위해 원스텝 검사법을 새로이 개발해 현재 72시간 소요되는 것을 12시간 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감염병 병상도 현 1100여 개에서 3500여 개로 확대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백신에 있어서는 유행 발생 시 100일 또는 200일 내 백신을 개발하는 전략을 수립했다.
당국은 유행 예측 항원형에 대한 백신 또는 시제품을 사전에 개발하여 유행 시 이를 활용한 신속 개발(100일)하거나, 사전 개발된 항원형과 다른 균주 유행 시 균주 도입단계부터 시작해 새로이 개발(200일)하는 두 가지 상황에 대해 준비한다.
이와함께 질병청은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된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이하 'mRNA 백신 사업')을 통해 2028년까지 mRNA 백신 플랫폼을 확보할 계획이다.
유행 발생시 대응에 있어 유행 상황별 특성에 따른 전략을 구체화했다. 초기에는 전파 최소화, 확산기에는 중증과 사망 예방, 회복기에는 효과적 복구와 재정비를 위한 계획들을 구체화 했고, '초기 3일' 플랜을 예시로 제시하여 초기 신속 대응을 핵심적으로 다루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인플루엔자는 백신과 항바이러스제라는 대응수단이 있는 만큼 새로운 바이러스 유행 시 백신을 빨리 확보할 수 있도록, 신종 인플루엔자 특성(항원형)에 맞는 백신 시제품을 개발하고, mRNA 등 백신 플랫폼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해 나가겠다"며 "대유행 초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치료제와 방역물자도 사전에 충분히 비축해서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n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