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직장가입자보다 사망률 높아"

"소득 수준 낮을수록 암 등으로 사망위험 최대 2배"
강희택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 분석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의 전체(누적) 사망률 비교표(강희택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 제공)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국민건강보험 유형과 보험료에 따라 사망률에 차이가 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희택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사망률이 직장가입자보다 높고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암 같은 질환 등으로 사망위험도 커진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BMC 공중보건'(BMC Public Health)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건강보험 유형과 보험료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코호트(2002-2019) 자료에 포함된 45만270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했다.

우선 건강보험 유형에 따라 일반 회사에 다니는 직장가입자(28만5859명)과 자영업자 등 지역가입자(16만6847명)의 사망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역가입자의 전체 사망률이 직장가입자 대비 남성의 경우 1.13배, 여성에서는 1.18배 높았다.

사망원인별로는 암(남 1.06배, 여 1.12배), 심혈관질환(여 1.2배), 뇌혈관질환(남 1.21배, 여 1.21배), 폐렴(남 1.12배), 자살(남 1.14배, 여 1.35배), 외인사(남 1.27배, 여 1.21배) 등으로 지역가입자의 사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어 소득 수준과 사망률 간 연관성을 확인했다. 납입하는 보험료를 기준으로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를 각각 상, 중, 하 세 그룹으로 나눴다.

이 경우에는 건강보험 유형에 상관없이 상 그룹에 속하는 가입자들에 비해 하 그룹에 속하는 가입자들의 사망률이 최대 2배 가까이 높았다.

이에 대해 강희택 교수는 "검진을 받는 기회의 차이와 보험 가입 유형, 소득 수준별 의료접근성의 차이가 큰 원인으로 보여져 건강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ksj@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