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앰브로스·러브컨 발견…'마이크로 RNA'란?

벌레에서 발견, 세포 성장·발달·분화에 필수적 역할
유전자 발현 조절…암 등 난치병 치료제 연구 활발

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게리 러브컨(왼쪽)과 빅터 앰브로스./뉴스1 ⓒ News1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벌레에서 발견한 유전자 비밀을 밝혀낸 미국의 과학자 게리 빅터 앰브로스와 러브컨이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데복시 리보핵산(DNA) 생성에 있어 최종 설계를 조절하는 마이크로리보핵산(마이크로 RNA)을 확인한 공로다.

스웨덴 왕립 카롤린스카연구소는 7일(현지시간) 빅터 앰브로스(70) 매사추세츠 의과대학 자연과학 교수와 게리 러브컨(72) 하버드 의과대학 유전학 교수를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앰브로스와 러브컨 교수는 마이크로RNA를 발견해 유전자 조절(gene regulation) 연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마이크로RNA는 유기체의 발달과 기능에 근본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입증됐다.

마이크로RNA는 20~24개의 염기로 이뤄진 작은 RNA다. 세포 내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중요한 분자다. 단순 RNA와 달리 단백질을 암호화하지 않고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세포 성장, 발달, 분화 등 여러 중요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최근엔 마이크로RNA를 활용한 유전자 발현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빅터 앰브로스, 게리 러브컨 교수는 '예쁜꼬마선충'(C. elegans)로 불리는 작은 곤충에서 마이크로 RNA를 발견했다. 이후 유전자 조절의 새로운 원리를 밝혀냈다. 노벨위원회는 이들의 발견이 인간을 포함한 다세포 유기체에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앰브로스 교수는 미생물인 예쁜꼬마선충의 배아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를 찾다가 마이크로RNA를 처음 발견했다. 러브컨 교수는 선충 모델을 통해 마이크로RNA가 생물의 유전자 발현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기전을 규명했다.

장수환 서울아산병원 생리학교실 교수는 "두 교수의 연구는 암, 심혈관질환, 파킨슨병 같은 신경질환 등 다양한 질병에서 유전적 조절 메커니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밝힌 데 기여했다"면서 "이를 통해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틀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앰브로스는 미국 뉴햄프셔주 하노버에서 태어나 1979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2년부터 2007년까지 다트머스 의과대학의 교수였으며 현재 매사추세츠 의과대학에서 자연과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러브컨은 1952년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서 태어났으며 1982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년에 매사추세츠 종합병원과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수석 연구원으로 시작해 현재 유전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노벨 생리의학상은 과학계에서 권위 있는 상 중 하나로 해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에서 수여한다. 올해 상금은 1100만 스웨덴크로나(약 14억 원)로 책정됐다. 연구 기여도에 따라 상금 분배도 다르게 책정된다. 앰브로스와 러브컨은 상금을 절반씩 나눠 갖는다.

ji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