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정부가 올해 공중보건의사를 250명만 뽑기로 했다. 512명이 전역하는데 절반도 안 되는 인력만 들어오게 돼 지역의료 공백 우려가 제기된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대공협)는 22일 "정부는 2023년 904명, 2024년 642명에 비해 크게 줄어든 250명만 올해 선발한다고 명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올해 4월 전역할 공중보건의사가 512명이니 대한민국의 의료빈틈을 지키는 공보의는 1년 만에 또 262명 감소할 예정"이라고 지적했다.
대공협은 "훈련소 기간이 산입되지 않아 36개월 3주라는 징벌적 복무 기간을 조정해야 하고, 공보의 배치 방식을 개선해 불필요한 순회 진료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숫자를 통해 지역에 배분하면 된다는 안일한 사고 때문에 도움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인력 공백이, 도움이 필요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인력 과잉이 발생할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또 "세상이 변하고 있으나, 제도는 제정 당시인 1979년에 그대로 머물러 있다"며 "그간 비효율적인 제도를 타파할 의지가 없었기에 기형적 형태가 돼버렸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비현실적인 복무 기간과 한 명의 공보의가 서너 개의 지소를 보는 열악한 환경에서는 앞으로 그 어떤 의대생도 의무사관후보생 서약서에 서명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대공협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건으로 △의무사관후보생을 공보의로 충원 △공보의 운영 대책 즉각적 제시 △지역 의료에 마땅한 보상 지급 등을 촉구했다.
ksj@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