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최양희 “선거구에 집착하면 발전 더뎌, 함께 성장 모색해야”

지난해 12월 7일 강원특별자치도 범국민추진협의회장에 추대
“강원도를 하나로 보고 전체의 이득이 되는 방향으로 지침 만들어야”

(강원=뉴스1) 한귀섭 기자 | 2023-06-10 06:40 송고
최양희 강원특별자치도 범국민추진협의회장이 최근 한림대학교 총장실에서 뉴스1 기자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한림대 제공)
최양희 강원특별자치도 범국민추진협의회장이 최근 한림대학교 총장실에서 뉴스1 기자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한림대 제공)

최양희 한림대학교 총장은 지난해 12월 7일 서울에서 열린 강원특별자치도 범국민추진협의회 출범식에서 초대 협의회장에 추대됐다. 시작은 녹록지 않았다. 6개월여 앞두고 출범한 협의회는 그야말로 ‘독이 든 성배’나 다름없었기 때문이다.

그가 말하는 강원도의 미래는 첨단산업, 창업이 살아 숨 쉬는 도시다. 최 총장은 군사 규제 구역에 대해서도 강원도가 국방안보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했다.
초대 협의회장을 맡아 강원특별자치 시대의 문을 연 최양희 강원특별자치도 범국민추진협의회장은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도민들이 하나 되는 데 보탬이 되기위해 협의회장을 수락할 수밖에 없었다. 의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소감은?
▶지금에와서 돌이켜보면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은 결코 쉽지 않았다. 그렇지만 이제 강원도가 특별한 지위를 부여받게 된다는 것에서 굉장히 축하할 일이다. 특히 강원도 자체적으로 출범 환경을 만들어 이뤄냈다는데 대단한 의미가 있다. 세종과 제주특별자치도는 정부가 주도했다면, 강원도는 지역사회에서 국회에 개정안을 올려 통과한 최초의 사례다. 밑에서부터 풀뿌리로 올라온 것이라 감회가 남다르고 보람을 느낀다.
-강원특별자치도 범국민추진협의회장으로 활동한 소회는?
▶강원특별자치도가 출범하려면 도민이 가장 기본적인 주체다. 지난해 말 출범한 강원특별자치도 범국민추진협의회에서는 행정‧교육‧기업 등 각 분야 전문가가 똘똘 뭉쳤다. 또 본인의 시간과 돈이 드는 일인에도 불구하고 생업도 포기해 가면서 까지 활동을 하는 분들을 보면서 ‘강원도의 힘이 이런 거구나’라는 걸 느꼈다. 특별자치도 출범을 생각하는 강원도민의 열정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됐다.

최양희 강원특별자치도 범국민추진협의회장이 최근 한림대학교 총장실에서 뉴스1 기자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한림대 제공)
최양희 강원특별자치도 범국민추진협의회장이 최근 한림대학교 총장실에서 뉴스1 기자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한림대 제공)

-법 제정부터 개정 과정에서 아쉬웠던 점과 기억에 남는 활동은?
▶생각했던 것보다 할 것이 많았다. 행정체계도 바뀌고 사람을 조직하다 보니 겨울이 지나가고 출범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그런데 갖춰진 것은 부족했다. 그러면서 시간은 빠르게 흘러갔다. 시간이 제약이 있다 보니 조급해 서두르는 점도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저 뿐만아니라 모두가 숨 가쁘게 달려왔다.

지난달 말 국회 앞에서 있었던 일이 생각난다. 강원 특별법이 국회에 빨리 상정돼 처리됐어야 하는데 지연되면서 국회를 찾아가 도민들의 의견을 강하게 이야기했다. 당시 국회 앞에서는 전국에서 온 강원도민들이 강원특별법 통과를 촉구하는 피켓을 들었다. 갑작스럽게 진행된 상황 이었는데도 상당히 효율적으로 시간이 딱딱 맞게 진행되는 등 모두가 한마음 한뜻으로 움직여 정말 놀랐다.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이 도내 대학에 어떤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하나?
▶강원특별자치도법에는 대학관련 내용은 없다. 3차 개정안에는 들어가야 한다. 이미 타 시·도에서도 몇 차례 개정이 이뤄졌다. 이번 개정안에는 고등 교육에 관한 것을 넣으려고 한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대학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

앞으로 규제를 풀어 기업유치, 일자리, 소득 등을 높여 강원도를 좋게 만들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도내 대학을 찾는 대학생들도 많아지고 정착하는 학생들도 많아질 것이다. 대학은 이를 당연시 여기지 않고, 앞으로 변화를 꾀하는 시도가 있어야 한다.

-지방소멸 문제가 심각하다. 특별자치도가 이를 해결할 수 있을지, 있다면 방안은?
▶강원특별자치도라는 이름만으로는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제 막 좋은 여건을 만들 기회를 가져온 것이고 어떻게 활용해 성과를 낼 것인가는 강원도의 몫이다.

예를 들어 제주도는 관광 자원을 잘 활용한 것도 있지만 자체적인 노력도 수반됐고, 특별자치도라는 제도를 더해 골고루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18개 시·군별 경쟁은 불가피하지만, 잘 어우러져 돌아간다면 지역 소멸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좋은 기업도 빨리 유치해야한다. 유망한 기업과 인재를 강원도로 오게 해 터전을 잡게 하면 훨씬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 특히 첨단산업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강원도는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기회의 땅이다.

강원특별법 개정안 통과 촉구하는 강원특별자치도 범국민추진협의회(강원도 제공)
강원특별법 개정안 통과 촉구하는 강원특별자치도 범국민추진협의회(강원도 제공)

-앞으로 강원특별자치도가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한마디.
▶강원도에 걸맞은 중장기적 전략유치 전략이 세부적으로 만들어져야한다. 전문가와 함께 차분하면서도 치밀하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강원도를 하나로 보고 전체의 이득이 되는 방향으로 지침을 만들어야한다. 18개 시·군이 각자 발전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힘을 분산시켜 성장 속도를 더디게 할 뿐이다. 그래서 도와 시·군이 의견을 조율해 함께 성장하는 방향을 하루빨리 제시해야 한다. 특히 시·군 여러 개를 모아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도가 돕는 방향이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지역에서 축제가 있다면 숙박은 B지역에서 관광은 C지역에서 하는 것이다.

강원특별자치시대에는 선거구에 집착하면 안 된다. 모든 정책이 각 선거, 행정구역별로 나눠 있다 보니 같은 정책이 너무 많다. 이는 결국 강원도의 발전을 저해한다. 기업 하는 사람들은 행정구역 선거구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 인프라와 혜택만 본다. 정치인들이 있어서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제는 그렇게 하면 안 된다. 앞으로의 강원도는 바뀌어야만 한다.

◆프로필
△1968년 경기고 △1971년 서울대학교(전자공학) 학사 △1975년 한국과학기술원(전기 및 전자공학) 석사 △1980년 ENST 프랑스국립정보통신대학(전산학) 공학박사 △1977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데이터통신연구실 실장 △1988년 미국 IBM Watson연구소 방문과학자 △2009년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초대 대학원장 △2013년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초대 이사장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2021년 한림대학교 제11대 총장


han123@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