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여성 권리 발전의 발자취"…'비운의 죽음은 없다' [신간]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2023-01-09 09:58 송고
'비운의 죽음은 없다'(동아시아 제공)
'비운의 죽음은 없다'(동아시아 제공)

인권법에서 정의하는 '인간'의 개념과 인권법이 보장하는 권리의 내용은 지난 30년 동안 여러 도전을 마주하며 끊임없이 발전해 왔다. '비운의 죽음은 없다'는 여성의 권리와 성·재생산 건강에 초점을 맞춰 그 발전 과정을 소개한다.

저자에 따르면 1970년대부터 국제 인권법에서 여성의 성·재생산 권리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에 등장한 과학적인 피임법이 1970년대 들어서 널리 확산됐다. 1979년에는 전 세계 여성운동의 공조로 '여성차별철폐협약'이 채택됐다.

사적 영역에서의 여성차별문제를 다루기 시작한 첫 번째 인권조약인 여성차별철폐협약은 형식적 평등과 함께 실질적 평등의 필요성을 증진했다. 1993년 비엔나 세계인권회의에서 시민적·정치적 권리와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사이의 장벽이 허물어졌고, 이는 사적인 영역에서 벌어지는 여성 폭력이 '인권문제'로 다뤄지는 계기가 됐다.

1994년과 1995년 각각 카이로와 베이징에서 열린 유엔회의에서는 재생산 건강과 권리 그리고 성평등을 증진하기 위해 정치적·사회적·경제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대담한 행동 계획들이 선포됐다.

여성 인권의 발전은 역풍을 맞기도 했다. 1980년대 들어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보건의료제도가 구조조정 프로그램(국제통화기금 또는 세계은행에서 금융지원을 받을 때 추진해야 하는 경제정책)으로 대체됐다.

또한 1990년대는 '신자유주의'의 바람이 불어닥치며 여러 정부가 무역자유화, 민간 자본 흐름의 규제 완화,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받아들인 시기이다. 몇몇 남반구 국가의 독재정권은 강대국들이 내세운 신자유주의 정책과 결탁해 민주주의 정치를 약화시켰다.

이렇듯 여성의 성·재생산 권리는 국가 간의, 국가 내의 정치적·사회적·경제적 상황과 맞물리며 발전해 왔다. 저자 인권은 정치 바깥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추상적인 권리가 아닌, 사회적·정치적·경제적 구조 안에서 만들어지고 구성되는 권리라고 강조한다.

따라서 인권 투쟁은 필연적으로 "인종주의, 가부장제, 생물의학, 경제적 구성 등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을 규정하는 권력 구조 간의 관계를 성찰"하는 일이다. 이 책을 통해 여성의 건강권은 물론 사회의 여러 영역에서 인권을 활용해 진보적인 변화를 주도할 아이디어를 엿볼 수 있다.

◇ 비운의 죽음은 없다/ 알리시아 일리 야민 글/ 송인한 번역/ 동아시아/ 2만2000원


acenes@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