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혈맹의 배신'에서 6자회담까지…변화무쌍했던 장쩌민의 대북 외교

1992년 한중 수교로 북한에게 '큰 좌절과 분노' 안기기도
2001년 방북, 북중 관계 분기점…북한 국제사회로 이끌어

(서울=뉴스1) 김서연 기자 | 2022-12-01 12:11 송고
캐나다 캘거리에서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이 알두에르 캘거리 시장이 선물한 카우보이 모자를 눌러쓰고 있다. 1997.11.26 © 로이터=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캐나다 캘거리에서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이 알두에르 캘거리 시장이 선물한 카우보이 모자를 눌러쓰고 있다. 1997.11.26 © 로이터=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중국 공산당 제3대 지도자였던 장쩌민 전 국가주석은 북한을 국제사회 대화의 틀로 이끌어냈던 인물이기도 하다.

냉전 시기 사회주의 이념을 중심으로 혈맹 관계를 유지했던 북중 관계는 1990년대 들어 변화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경제발전을 최우선으로 설정하고 이념적인 부분을 강조하는 동시에 실용주의적 외교노선을 취한 장 전 주석이 있었다.
북한에 있어 '변화'를 상징하는 가장 큰 사건 중 하나는 '혈맹의 배신'이라고 여겨지는 1992년 한중 공식 수교다. 그는 당시 국가주석은 아니었으나 당 총서기로써 사실상 권력을 쥐고 한중 수교를 주도적으로 이끌어낸 인물이기도 했다. 

당시 장 전 주석은 첸지천 중국 외교부장을 북한에 보내 한중수교를 추진 중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당시 김일성 주석은 분노를 감추지 못하면서 "우린 앞으로 자주노선을 걸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김일성 주석은 이후 사망할 때(1994년)까지 실제 북중 정상회담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김정일 국방위원장 집권 직후인 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을 겪고, 1차 북핵 위기에 이은 북한의 '선군정치'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난과 경계가 커지자 북한은 다시 중국에 손을 내밀 수밖에 없었다.

북중 관계 정상화에 노력을 기울인 김정일 위원장의 2000년 방중을 기점으로 북중관계는 다시 회복되고, 급진전된다.

비슷한 시기에 한국의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이 가동되면서 남북 정상회담까지 열리자 한반도에 대대적인 외교의 장이 열렸다.

장 전 주석은 북한에 적극적인 개방과 혁신을 주문했고, 외교적으로도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자신이 이끄는 중국의 '혁신 모델'이 북한에도 적용되기를 바랐던 것이다.

2001년 9월 장 전 주석은 북한을 찾는다. 김정일 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그는 서울을 방문할 것과 남북 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주문하면서 북한을 국제사회 무대로 이끄려는 모습을 보인다. 

동시에 "전통을 계승하고, 미래를 지향하며. 선린우호관계 속에서, 협력을 강화한다"(繼承傳統 面向未來 睦隣友好 加强合作)는 내용의 '16자 방침'을 천명하면서 북한의 든든한 조력자가 되겠다는 약속을 하기도 한다. 이 16자 방침은 아직도 북중관계를 상징하는 말이기도 하다.

이같은 그의 노력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다자회담으로 이어졌다. 동북아 각국에서 이미 북핵 문제를 다자적 틀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공감대는 있었으나, 당시 북한의 '뒷배'로만 남기보다는 적극적인 견인차 역할을 구상한 장 전 주석의 노력이 없었다면 동북아 핵심국이 모두 참여한 형태의 북핵 대화는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6자회담은 지난 2018년 북미를 중심으로 진행된 비핵화 협상 전까지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절대적인 '모델'로 평가받았다. 

본격적인 6자회담은 장 전 주석이 주석직에서 물러난 2003년 8월에서야 본격 시작됐지만 6자회담의 성사에 있어 장 전 주석의 역할을 부정할 수는 없는 것이 명백하다.

2003년8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진행된 6자회담이 모두 중국의 베이징에서 열렸던 것은, 당시 중국의 지정학적 입지도 이유였지만 6자회담 성사를 위한 '의지'도 한몫했다는 평가다.

6자회담은 2006년 북한의 첫 핵실험으로 추동력을 잃었고 2009년엔 북한이 파기 선언을 함으로써 결국 결렬로 끝났다. 다만 지난 2018년 양자 중심의 비핵화 협상이 한쪽의 결렬 선언으로 무산되면서, 이해관계국의 입장이 점철되면 오히려 대화에서 이탈하기 어렵다는 관점 하에서 6자회담의 모델이 재평가를 받기도 했다.


sy@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