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제주, 2026년까지 '반값 아파트' 등 공공분양주택 2100호 짓는다

서민·청년의 '내 집 마련' 뒷받침…주거취약층 대상 공공임대 4900호 공급

(제주=뉴스1) 강승남 기자 | 2022-11-30 13:23 송고
제주특별자치도는 30일 오는 2026년까지 공공주택 7000호를 공급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반값아파트 등 서민과 청년들에게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시세보다 저렴하게 분양하는 '제주형 보금자리 공공분양 주택' 2100호와 주거취약계층의 주거복지를 위한 통합공공임대주택 등 임대주택 4900호를 공급한다는 것이다. 제주시내 전경. © News1 홍수영 기자
제주특별자치도는 30일 오는 2026년까지 공공주택 7000호를 공급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반값아파트 등 서민과 청년들에게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시세보다 저렴하게 분양하는 '제주형 보금자리 공공분양 주택' 2100호와 주거취약계층의 주거복지를 위한 통합공공임대주택 등 임대주택 4900호를 공급한다는 것이다. 제주시내 전경. © News1 홍수영 기자

민선 8기 제주도정이 공공주택 보급정책을 '임대'에서 '분양'으로 전환한다. 서민과 청년들의 내집 마련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30일 오는 2026년까지 공공주택 7000호를 공급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반값아파트 등 서민과 청년들에게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시세보다 저렴하게 분양하는 '제주형 보금자리 공공분양 주택' 2100호와 주거취약계층의 주거복지를 위한 통합공공임대주택 등 임대주택 4900호를 공급한다는 것이다.

'제주형 보금자리 공공분양주택'은 토지임대부 분양주택(600호), 청년원가주택(500호) 6년 분양전환형(200호), 일반공공분양형(800호)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은 제주에서 처음 시행되는 것이다. 토지는 공공이 소유하고 주택만 분양하는 방식이다. 분양가는 주변 시세의 50%다. 제주시 원도심 지역과 서귀포시 혁신도시에 시범사업으로 내년 추진한다.
만 19~39세인 청년원가주택은 분양가가 시세의 70% 이하로 책정된다. 할인된 분양가의 최대 80%를 장기 모기지 지원을 계획 중이다.

우선 거주 후 내 집 마련 선택권을 부여하는 '6년 분양전환형 주택'은 입주 시 추정 분양가와 6년 후 분양 시 감정가의 평균가격이 최종 분양가가 된다.

일반공공분야형 주택은 민간분양주택 수준 이상인 자재와 품질을 고려한 저렴한 공공분양주택 건립으로 청년층의 당첨 기회를 확대한다.

무주택 서민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중에는 국민·영구·행복주택 유형별 입주대상과 자격을 통합한 '통합공공임대'가 3430호로 가장 많다. 공급면적을 종전 60㎡에서 85㎡로 늘리고 입주 계층도 확대한다.

고령자 복지주택은 420호를, 기존주택 매입주택은 1050호를 각각 공급한다. 고령자 복지주택은 사회복지시설과 고령자 친화형 임대주택 복합시설 공급 및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한다. 기준주택 매입 공급은 국비 지원 등을 통해 시세의 30% 수준으로 임대한다.

제주도는 이 외에도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가구 등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여건 개선과 저출산 극복 및 주거지원 사각지대 해소 등을 위한 주거지원사업도 병행한다. 이를 위해 오는 2026년까지 13만1000가구에 2329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부동산시장 상황, 주택수요 등을 감안해 상호 보완을 통해 공공분양과 공공임대주택을 탄력적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공공주택 공급은 주거여건이 양호한 원도심 지역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읍면지역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특히 걷고 싶은 도시환경, 15분 보행권내 생활 사회간접시설(SOC)과 일자리 통합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등 '15분 도시 제주' 조성과 연계해 추진한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이와 관련 "민선8기 도정의 공공주택 공급정책은 '임대주택' 중심에서 '내 집 마련' 단계까지 주거정책을 확대하고, 끊어진 주거사다리를 복원하는 등 '분양주택'으로의 확대를 핵심으로 한다"며 "차질 없는 공공주택 공급,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주거지원 확대 및 사업 추가 발굴을 통해 주거복지 사각지대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ksn@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