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위믹스, 코코아파이낸스 차입금 전부 상환…유의종목 해제될까

위메이드 위믹스, 5대 거래소 유의종목 지정 연장
유의종목 지정 원인은 '코코아파이낸스 차입금'…상환으로 유통량 차이 줄여

(서울=뉴스1) 박현영 기자 | 2022-11-11 10:16 송고 | 2022-11-13 14:42 최종수정
게경기도 성남시 위메이드 본사 모습. 2022.1.22 뉴스 © News1 김명섭 기자
게경기도 성남시 위메이드 본사 모습. 2022.1.22 뉴스 © News1 김명섭 기자

업비트 등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가 10일 위믹스(WEMIX)에 대한 투자유의종목 지정기간을 연장한 가운데, 위메이드가 '코코아파이낸스' 차입금 전액을 상환했다. 

앞서 위믹스는 계획된 유통량과 실제 유통량이 차이가 있어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로부터 유의종목으로 지정됐다.

유통량 차이가 발생한 데는 탈중앙화금융(디파이) 서비스 '코코아파이낸스'에서 위믹스를 담보로 코코아파이낸스 토큰인 KSD를 대출한 영향이 컸다. 따라서 빌린 KSD를 다 상환해야 유의종목에서 해제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에 위메이드도 유의종목 해제를 위해 코코아파이낸스 차입금을 전부 상환하는 방안을 택했다. 

◇'유통량 차이' 발생시킨 코코아 차입금, 어떻게 상환했나

위메이드는 지난 10일 "커뮤니티와 거래소의 신뢰를 근원적으로 회복하기 위해선 좀 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 코코아파이낸스 차입금을 전액 상환했다"고 밝혔다.

앞서 위메이드가 코코아파이낸스에 위믹스를 예치한 이유는 디파이 플랫폼 '위믹스파이'를 출시하면서 유동성 마련을 위한 재원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위메이드는 코코아파이낸스에 보유한 위믹스를 예치하고 담보 대출을 진행했으나, 이 과정에서 계획보다 더 많은 위믹스가 담보로 설정됐다. 알려진 유통량과 실제 유통량 간 차이가 발생한 원인이다.

따라서 위메이드는 코코아파이낸스에 차입금을 상환하고, 위믹스를 되찾아 유통량 차이를 없애기로 했다. 이 같은 목표로 위메이드는 상환을 위한 재원을 마련했다. 

재원에 대해 위메이드는 "위믹스파이 출범 이후 위믹스달러 및 각종 디파이 프로토콜(통신규약)이 안정됨에 따라 초기 제공됐던 유동성을 일부 회수해 충당했다"며 "유동성 축소는 위믹스달러와 위믹스파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위믹스파이는 위메이드가 출시한 탈중앙화금융(디파이) 플랫폼이다. 디파이 플랫폼 활성화를 위해 초기 투입했던 비용을 일부 회수해 KSD 차입금 상환에 썼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위믹스파이에서 위믹스코인(WEMIX) 및 위믹스달러, USDC 등을 출금해 재원을 확보했다.

위믹스달러는 스테이블코인 USDC에 1:1로 보장되는 스테이블코인이다. 위메이드는 출금한 위믹스달러를 소각해 USDC를 얻고, 이 과정을 통해 총 900만USDC를 마련했다. 이후 가상자산 간 교환을 지원하는 브리지 솔루션 등을 통해 USDC를 KSD로 전환, 총 940만KSD를 확보했다.

앞서 위메이드는 두 차례에 걸친 상환을 통해 총 670만KSD를 상환한 바 있다. 갚아야 할 잔액은 936만KSD였다. 이번에 확보한 재원으로 위메이드는 잔액을 전부 상환하고, 담보로 맡겼던 위믹스를 환수했다. 

◇위메이드 "유의종목 해제 위해 노력할 것"

유의종목 지정의 주요 원인이었던 코코아파이낸스 차입금을 모두 상환한 만큼, 위메이드는 유의종목 지정 해제를 위해 더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위메이드는 "상환 절차 도중 유의종목 지정이 연장됐음을 통보받았다"며 "이번에 유의종목 지정을 야기하게 된 유통량에 대한 시각차를 커뮤니티, 거래소와 일치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생태계 확장과 동시에 투자자 보호가 프로젝트(사업)의 중요한 가치임을 확인하고, 적극적이고 즉각적인 공시 시스템과 안전한 자산 관리 시스템을 보강하겠다"고 덧붙였다.

위메이드 관계자는 유의종목 지정 기간 연장과 관련해 "협의 과정에 시간이 조금 더 걸려 일주일 연장 유예를 한 것일 뿐, 유의종목 지정이 해제될 것이란 기존 전망에는 변화가 없다. 해제를 위해 잘 소명하겠다"고 밝혔다.


hyun1@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