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평양 내에서도 빈부격차…모란봉·평천·중구역이 핵심 '부촌'"

숭실대·서울시립대 공동주관 학술대회서 분석
"김정은의 중국식 개혁, 도시 내 빈부격차 강화"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2022-11-09 15:50 송고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경루동에 새로 건설된 보통강 강안 다락식주택구의 야경.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경루동에 새로 건설된 보통강 강안 다락식주택구의 야경.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북한의 수도 평양에서도 중심구역과 주변 간 빈부격차가 강화되고 있으며 모란봉구역, 평천구역, 중구역 순으로 핵심 부촌이 형성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시효 숭실평화통일연구원 전임연구원과 김성배 숭실대 명예교수, 기정훈 명지대 교수는 9일 숭실대 숭실평화통일연구원 북한도시연구단과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평양학연구센터가 공동주관한 학술대회 '페이퍼 맵과 디지털 맵을 통해 본 평양의 변화'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이들은 위성사진과 국토지리정보원 지리정보시스템(GIS)이 수집한 2015년 12월 기준 자료로 확인할 수 있는 15개 도심 구역만 조사 대상으로 했다.

분석 결과, 건물 면적에 층수를 곱하고 이를 구역별 전용 면적으로 나눈 '건물 밀도'는 모란봉 구역이 1.059로 가장 높았으며 평천구역(0.904), 중구역(0.709), 동대원구역(0.674)이 뒤를 이었다.

이와 달리 도심 외곽의 형제산구역(0.111), 역포구역(0.11305), 대성구역(0.11530), 사동구역(0.13257)은 건물 밀도가 낮았다.
발표자들은 "탈북민 설문조사에서 평양의 잘사는 지역이 '중구역-보통강구역-평촌구역-모란봉구역'이라고 밝혔던 것과 유사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건물 층수를 기준으로 봐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평양에서 10층 이상 건물 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중구역(0.0467)이었고 평천구역(0.0335), 모란봉구역(0.0296), 보통강구역(0.0224)이 뒤따랐다.

발표자들은 개발도상국의 도시빈곤 측정에 따르면 통상 층수가 낮은 건물이 많은 지역은 빈곤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건물이 많은 지역은 부유한 곳이라고 부연했다.

반면 전체 건물 수 중 1층 건물의 분포가 높은 지역은 도시 외곽인 역포구역(0.9071), 용성구역(0.8949)이며 도심에서도 공장지대와 그 배후 거주지역인 선교구역(0.8982)과 사동구역(0.8949)도 1층 건물 밀도가 90% 가까이로 나타났다.

아울러 인구 대비 가장 열악한 주거환경인 '땅집'(슬레이트 지붕을 가진 단층집 중 거주 가능한 면적인 10.2∼477㎡) 밀도가 높은 지역은 사동구역(0.102), 대성구역(0.088), 선교구역(0.8253), 형제산구역(0.075) 등이었다.

발표자들은 "땅집은 대체로 도시 외곽 구역과 공장 지대가 있는 대동강 남쪽에 집중돼 있었다"라고 부연했다.

또 평양의 단위 면적 당 빛의 양인 야간 조도(nanoWatts/㎠/sr)를 보면 중구역(97.94)이 평균 대비 3.8배로 월등히 높았다.

이어 개선문과 청년놀이공원, 야시장, 여명거리가 있는 모란봉구역(60.86), 주체사상탑이 있는 동대원구역(46.55), 부유층이 사는 평천구역(25.15)과 보통강구역(25.14)도 야간 불빛이 강한 지역이었다.

발표자들은 "수령 중심의 정치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점진적 개혁을 통해 중국식 개혁 개방의 초기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 김정은 정권의 시장의 작동은 절대적 빈곤을 완화하는 기능이 있지만 동시에 북한에서 농촌과 도시 간, 도시 내 중심구역과 주변 간 빈부격차를 강화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또 기정훈 교수는 "평양의 경우는 도심의 건물밀도가 가장 높으며, 4-5km까지 급한 경사도를 나타내며 감소하다가 4-5km이후에는 경사도가 완만한 양상을 보인다"면서 "이러한 양상은 사회주의나 공산주의 도시의 공간 구조라기 보다는 오히려 시장경제 체제에서의 도시 공간 구조에 유사한 형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에서의 부동산과 주택시장에 진입장벽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가, 각종 공공기관, 기업소, 개인(돈주), 중국인까지 주택 건설의 참여자가 되고 있다는 점을 본다면 도시의 공간구조는 더욱 시장경제체제의 도시와 유사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면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과 유사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라고 덧붙였다.


sseol@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