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규모·인프라·기술' 수소경제 3대 성장전략 발표…"청정수소 생태계 확장"

尹정부 첫 수소경제위…산업계 위원 확대로 민간 주도 '컨트롤 타워' 구성
청정수소 기반 생태계 전환 정책 내용 등 담겨…"1등 산업으로 육성"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2022-11-09 18:00 송고
자료제공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제공 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9일 대규모 수요 창출과 인프라·제도 구축, 선도국가로의 도약 등 글로벌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정부는 기술력 있는 수소기업을 발굴해 지원을 강화하고, 과감한 규제 개혁을 통해 우리 제품의 수출상품화로 해외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날 서울 롯데호텔 한덕수 국무총리(위원장) 주재로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이날 위원회는 새정부 출범 후 첫번째로 개최된 위원회로, 수소산업 본격 성장을 위한 새로운 수소경제 정책방향을 발표하고 논의했다.

특히 이번 위원회에서는 기존위원의 임기만료에 따라 2기 민간위원을 새로 위촉했으며 산업계 위원을 확대(3→5명)해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수소경제 컨트롤 타워를 구성했다.

국내 수소 정책은 그동안 수소승용차, 발전용 연료전지 등 일부 활용 분야로 국한돼 생산, 저장, 운송 분야 등의 산업경쟁력이 선진국과 격차가 있었다. 특히 정부 안팎에선 화석연료 기반의 '그레이수소' 생태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윤 정부는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 및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이라는 국정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소경제 정책방향을 위원회에서 발표했다.

이번 정책방향은 3대 성장(3UP) 전략으로 △규모·범위의 성장(Scale-Up) △인프라·제도의 성장(Build-Up) △산업·기술의 성장(Level Up)을 제시했다.

정부는 우선 규모·범위의 성장을 위해 발전·수송 분야에서 대규모 수소 수요를 창출하고, 글로벌 수소 공급망을 구축해 청정수소 생태계로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 3만대, 대규모 집중형 발전, 국내외 대규모 청정수소 생산기지 구축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수소, 암모니아 혼소 발전을 실현하고, 수소버스·트럭 등 대형 모빌리티 보급도 확산시킨다.

인프라·제도의 성장을 위해서는 청정수소 활용 촉진을 위한 유통 인프라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세계 최대 수준의 액화수소 플랜트를 구축하고, 액화충전소도 2030년 70개소로 확대한다. 수소 발전입찰시장 개설, 수소 사업법 제정,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 등 제도적 기반도 마련될 전망이다.

산업·기술 성장을 위해선 세계 1등 수소산업을 육성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기술 혁신에 나선다. 정부는 수소 활용 분야 뿐만 아니라 생산·유통 전주기의 핵심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며 △수전해 △액화수소 운송선 △트레일러 △충전소 △연료전지(모빌리티·발전) △수소터빈 등 7대 전략분야를 육성하고, 기술력 있는 수소기업(600개 육성)을 발굴해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한 총리는 수소경제위원회 사전행사로 '서해안권 청정암모니아 공급망 구축 협약식'과 '액화수소 생태계 조성 협약식'에 참석해 기업들을 격려했다.

'서해안권 청정암모니아 공급망 구축 협약식'을 통해 청정수소 생산-유통-활용 전주기에 걸친 기업들이 협업해 해외에서 대규모 청정암모니아를 생산, 국내로 도입 후 서해안권에 공급해 청정발전에 활용하기로 했다. 생산·유통에는 삼성, SK, 포스코, 롯데, 석유공사 등이 맡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한 해외 생산기지, 운송선박, 국내 인수·저장 시설 등 구축과정에 대규모 산업 파급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생산된 청정전력을 인근 산업단지에 공급하여 국내 기업의 RE100 이행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액화수소 생태계 조성 협약식'을 통해서는 SK, 효성, 하이창원이 액화수소 플랜트와 충전소를 구축하고, 현대차가 수소 상용차를 보급할 예정이다.


freshness410@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