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美 내년 100% 침체" 대외여건 최악…韓 '고용쇼크'도 비상등

미국·유럽 등 주요국 경기침체 예상 강해져…中마저 휘청
고용 한파 전망에 내수도 먹구름…"내년 고물가-저성장"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2022-11-07 07:05 송고 | 2022-11-07 09:05 최종수정
올가을 가장 추운 날씨를 보인 4일 서울 서초역 사거리 인근에서 두꺼운 옷차림을 한 시민들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자료사진) 2022.11.4/뉴스1
올가을 가장 추운 날씨를 보인 4일 서울 서초역 사거리 인근에서 두꺼운 옷차림을 한 시민들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자료사진) 2022.11.4/뉴스1

우리 경제 안팎 모두에서 한파가 몰아칠 분위기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유로존 등 주요국이 곧 경기 침체에 진입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내년 고용시장이 올해의 10분의 1 수준으로 냉각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교역 상대국의 경제 상황이 나빠질 경우 수출에 의존하는 우리 경제는 성장 동력의 많은 부분을 잃게 된다. 여기에 고용 둔화로 내수마저 위축된다면 우리나라는 수출과 내수 양방향에서 고통받는 셈이다.

◇저마다 '침체' 얘기…"미국 1년 내 100% 침체"까지

7일 외신 분석을 종합하면 내년 미국과 유로존이 경기 침체에 진입할 것이라는 분위기는 점차 강해지고 있다. 여기에 중국의 성장 둔화까지 합쳐 'G3'(미국, 중국, 유로존) 경제가 동반 위축되는 양상이다.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글로벌 투자은행 컨센서스에 따르면 미국이 향후 1년 내 침체로 접어들 확률은 최근 한 달 사이 49%에서 60%까지 올랐다. 심지어 통신이 자체 개발한 모델로 분석한 결과 미국의 1년 내 침체 가능성은 직전 65%에서 100%로 치솟았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도 지난달 말 내년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1.5%에서 0.5%로 크게 하향 조정하며 2023년 2분기부터 침체를 예상한다고 밝혔다.

다만 미국의 침체 강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내년 미국에 '심각한 경기 침체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석좌교수 등)과 '완만할 것'이란 의견(앨런 블라인더 프린스턴대 교수 등)이 최근에도 엇갈린다.

유럽의 상황은 미국보다 더 나쁘다. 예컨대 지난달 미국의 고용·소비 지표는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난 반면, 유럽의 산업활동 지표는 하락세를 지속했다.

로이터통신은 4일(현지시간) "유로존 경제의 하강이 심해지고 있다"며 "고물가와 에너지 위기에 대한 우려는 유로존이 올겨울 침체로 진입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전했다. 블룸버그의 앞선 조사를 보면 유로존의 침체 확률은 72.5%에서 한 달 만에 80%로 상승했다.

우리 최대 수출국인 중국은 올 들어 성장세가 부쩍 둔화됐다. 수출이 미중 갈등 여파로 힘을 쓰지 못하는 가운데 내수도 제로 코로나 정책 등에 부진해지면서다. 지난 2일 영국 투자은행 바클리스는 내년 중국 성장률을 4.5%에서 3.8%로 내려 잡았다.

이처럼 G3 경제가 함께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우리 수출은 2023년에도 계속해서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이미 수출은 지난 3분기 기준 우리 경제 성장률을 -1.8%포인트(순수출 기준) 끌어내린 바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3일 보고서에서 "중국을 포함한 G3의 동반 내수 위축은 신흥국의 수출 실적을 크게 제한하며 선진국과 신흥국 경기의 하방 동조화를 유발한다"고 평가했다.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기댔던 내수마저 불안…내년 '고용쇼크' 전망

국내 경기에도 찬 공기가 다가오고 있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복합위기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코로나19 이후 소비 반등세를 제약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높은 물가 오름세와 금리 인상은 실질소득 감소와 이자비용 증가로 이어져 가계 소비 여력을 축소시키고, 연말연시 경제 분위기를 어둡게 할 공산이 크다.

이미 소비 심리 약세가 관측됐다. 통계청의 9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8월 회복세를 보였던 소비가 한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10월 소비자심리지수는 88.8로 2.6포인트 떨어졌다.

새해는 이런 소비 제약 흐름 위에 글로벌 침체 여파가 덮치며 고용 훈풍이 그칠 전망이다. 

내년 국내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의 10분의 1 수준인 8만4000명까지 감소할 것이라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3일 밝혔다. KDI는 올해 고용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와 경기둔화, 핵심 노동인구 감소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이는 '고용 쇼크'로 회자됐던 2018년 취업자 수 증가 폭(9만7000명)보다 낮은 수치다. 당장 내년부터 고용이 둔화하면 가계 소득이 정체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여기에 고물가·고금리까지 설상가상으로 내수가 지금처럼 버티긴 힘들어진다.

물론 코로나19 기간에 쌓인 저축이 많아 내수 위축의 정도는 섣불리 가늠하기 어렵다고 정부는 지적한다. 하지만 3분기 성장률 중 무려 0.9%포인트를 민간소비가 떠받친 만큼 내수 부진 가능성 자체가 경제에 위기감을 높이는 모습이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최근 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미국의 금리 인상을 포함한 불안한 대외 환경"이라며 "국내적으론 이태원 참사도 정부 신뢰도를 낮추고 불안감을 높여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경제에 저성장-고물가 기조가 이어지는 뉴노멀 3.0 시대가 열렸다고 분석하며 "내년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팬데믹, G2 패권 경쟁 등으로 고물가 여파가 확산하고 성장 둔화와 금융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고 밝혔다.


icef08@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