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1612명 조사해보니 95% 항체 보유…미진단 감염자 6% 추정(상보)

1~4월 국민건강영양조사…오미크론 대유행 4월 자연감염률 36.1% 크게 높아져
자연+백신 항체양성률은 매월 95% 전후…분기멸 1만명씩 대규모 조사 7월 초 착수

(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 2022-06-14 11:39 송고 | 2022-06-14 13:40 최종수정
대구·경북 지역 코로나19 확진자 감소세가 이어진 1일 오전 대구 수성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 찾는 이가 없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2.6.1/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대구·경북 지역 코로나19 확진자 감소세가 이어진 1일 오전 대구 수성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 찾는 이가 없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2.6.1/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방역당국이 코로나19 항체양성률을 조사한 결과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항체 양성률은 94.9%에 달했다. 그 가운데 4월에만 자연감염률이 36.1%로 나타나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대유행 상황을 반영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4일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에 대한 코로나19 항체양성률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는 10세 이상 전국민(10세 이상) 누적발생률보다 6.6%p 높다.

이번 조사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전국 16개 시·도(세종 제외)의 영양조사 참여자 161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백신접종 및 자연감염에 의한 전체(자연감염 및 백신 면역) 항체양성률은 94.9%(1530명)이며, 이 중 자연감염으로 인한 항체양성률은 1월 0.6%에서 4월 36.1%로 급증, 오미크론 확산에 따라 증가함이 확인됐다.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은 1월 0.6%, 2월 2.5%, 3월 16.5%로 변화했다. 자연감염과 백신을 통한 항체양성률은 매월 95% 전후를 기록해왔다.

항체양성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S(spike) 항원, N(nucleoprotein)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보유한 비율을 말한다. S 항원은 자연감염과 백신 접종 후 생긴 항체 모두 이 항원에 결합하며 N 항원은 감염 후 생성된 항체 즉 자연감염으로 인한 항체가 결합된다. 4월 자연감염 항체율 36.1%는 N항원 보유자가 이처럼 발생했다는 의미다.
    
조사결과 4월 자연감염으로 인한 항체양성률(36.1%)은 동기간 10세 이상 전국민 누적발생률(29.5%)보다 6.6%p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확진으로 진단받지 않은 채 감염 후 회복한 경우로 풀이된다. 
4월 누적 발생률은 4월 15일 기준 10세 이상의 확진자 수를 2021년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10세 이상 인구로 나눈 비율이다. 방역당국은 "이번 조사 시기가 오미크론 대유행 기간으로 지역사회 내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영양조사 참여자의 월별 자연감염에 의한 항체양성자 및 미진단 감염자도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전문가 자문 결과, 이번 조사는 오미크론으로 인한 유행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건강영양조사가 1년 주기의 국가통계 산출을 위해 설계된 표본이기에 월별 조사지역이 상이하고 조사 규모가 적으며, 대상자의 연령이 10세 이상으로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했다. 

따라서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더욱 정확한 자연감염자 규모 확인과 유행 위험요인 분석을 위해 대규모의 전국단위 항체양성률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규모 조사는 지역·연령·유병률 등을 고려해 전국 17개 시·도 주민을 대상으로 분기별로 진행된다. 올해 조사는 분기별 1만명씩 3만명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감염병 유행 상황 등을 고려해 유동적으로 운용할 예정이다. 방영당국은 "대규모 조사는 현재 주관 연구기관 선정을 위한 공고(5월31일∼6월17일) 중이며 선정평가 등 절차를 거쳐 7월초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지난 3월 말 전국민 항체양성률 조사계획을 발표했으나 예산확보, 관계부처 협의, 사업공고 등 행정절차로 인해 계획보다 지연되고 있다. 대규모 항체양성률 조사 결과는 감염병 유행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방역 대응 수준 결정과 중환자 병상 수요 파악 등 의료체계의 효율적 준비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ungaungae@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