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단순한 운송수단 아니야…플랫폼 경제 핵심 요소"

26일 교통학회서 '혁신의 플랫폼, 미래모빌리티' 강연
손봉수 연세대 교수 "모빌리티, 국가 경쟁력 강화와 직결"

손봉수 연세대 교수

"모빌리티는 더 이상 운송 수단이 아닌 '움직이는 데이터센터'로 인식해야 한다"

(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지난 26일 강릉 라카이샌드파인 컨벤션에서 열린 제91회 대한교통학회 강릉 추계학술대회 특별강연에서 손봉수 연세대 교수는 이같이 밝혔다.

'혁신의 플랫폼, 미래모빌리티'를 주제로 강연을 맡은 손 교수는 미래모빌리티를 소비자 니즈를 실현하고,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첨단기술의 집약체로 정의했다. 아울러 모빌리티를 플랫폼 경제의 핵심 요소로 꼽았다.

그는 CES에서 '자동차를 전시하는 삼성전자와 소니'를 언급하며 IT 기업들의 모빌리티 진출 흐름을 모빌리티로의 권력이동이라고 진단했다.

손 교수는 "모빌리티 자체가 거대 플랫폼으로서의 시장 경제의 게임체임저"라며 "모빌리티 플랫폼 선점이 새로운 시장과 기술의 패권을 형성해 국가의 경쟁력 강화와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빌리티와 관련된 대선공약, 정부 국정과제, 부처별 정부 정책을 차례로 소개한 손 교수는 정부 정책에 따른 관련 R&D로 자율주행차, UAM, 하이퍼튜브, 첨단 물류 등의 사업을 설명하며, 교통분야 전문가들의 관심과 참여를 촉구했다.

첨단모빌리티의 기술 수준도 빠른 성장을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 교수는 "우리나라는 서방 선진국에 비해 늦게 경제 성장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이동통신과 교통 시스템을 바탕으로 훌륭한 교통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고 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첨단모빌리티 기술 수준은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 5개국 대비 84.2%로, 최하위 순위에 머무르고 있다.

손 교수는 핵심기술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산학연관 국가적 역량 총결집을 강조했다.

이어 최근 대통령실에서 발표한 R&D 예타제도 전면 폐지, 국가 AI 위원회 출범과 같은 정책 흐름에 지지하며, 실제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조속한 실행 방안의 수립을 촉구했다.

이와 함께 모빌리티 정책 방향으로 △미래모빌리티 기술 사업화 총력 지원 △모빌리티 특화연구소 지정 및 기술 분야별 테스트베드 조성 △산업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다양한 정책수단 결합 △R&D 속도전 지원 강화 등을 제안했다.

이밖에 김용진 인하대 교수는 '대한교통학회가 바라본 민간투자 전망'을 주제로 교통인프라의 민간투자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한편 이날 개회식에선 정진혁 교통학회 회장을 비롯, 양원모 강릉부시장, 김수상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상임위원, 김영찬 한국교통연구원 원장 등 각계각층의 귀빈들이 참석했다.

wns830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