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탄핵 후폭풍…장동혁 '최고위원 사퇴' 여부 달렸다
탄핵 시 최고위 사퇴 주장한 장동혁, 尹 담화 이후 심경 변화
최고위원 5명중 친윤 3명, 장동혁 사퇴시 '한동훈 체제 붕괴'
- 박기범 기자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친한(친한동훈)계와 친윤(친윤석열)계의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파국 갈림길의 핵심 요인으로 장동혁 최고위원이 주목받고 있다. 장 최고위원의 최고위원직 사퇴 여부에 따라 '한동훈 체제'의 명운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13일 여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당헌·당규에선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4명이 사퇴하면 최고위는 해산하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된다.
현재 선출직 최고위원은 장 최고위원을 비롯해 김재원·인요한·김민전 최고위원과 진종오 청년 최고위원 등 5명이다. 이 중 장동혁·진종오 최고위원은 친한계, 김재원·인요한·김민전 최고위원은 친윤계로 분류된다.
여권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안 가결 시 친윤계 최고위원의 사퇴 가능성이 나온다. 여당 지도부로서 대통령 탄핵안 가결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는 취지에서다. 만약 친윤(친윤석열)계 세 사람이 사퇴할 경우, 친한(친한동훈)계 최고위원 중 1명의 추가 사퇴자가 나오면 '한동훈 체제'는 붕괴된다.
이같은 정치적 상황이 장 최고위원을 주목하게 하고 있다. 앞서 장 최고위원은 탄핵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 최고위원에서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친윤계는 친윤 핵심 인사로 분류되는 권성동 의원을 원내대표로 선출하며 한동훈 체제 붕괴 이후 당권을 잡기 위한 준비에 나선 모습이다. 신임 권 원내대표가 대표직을 겸직하면서 비대위원장을 임명해 친윤계를 중심으로 당을 재편한다는 시나리오다.
다만, 전날부터 장 최고위원이 탄핵안 표결 결과와 관계없이 최고위원직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변수가 생기는 모습이다.
윤 대통령이 전날 담화를 통해 당이 제안한 '질서 있는 퇴진'을 거절해 장 최고위원 역시 입장을 선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장 최고위원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지금 탄핵에 대해서 상황이 달라졌다"고 했다.
친한계 신지호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장 최고위원과 개인적으로 소통한 결과 (탄핵안이 통과되는) 상황이 오더라도 사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장 최고위원이) 대통령 담화를 보고 사퇴 안 하는 쪽으로 기류가 선회했다"고 말했다.
친윤계에서는 장 최고위원이 앞서 탄핵 후 사퇴를 밝힌 만큼 이 결정을 바꾸기 쉽지 않을 것이란 기대하고 있다. 친윤계 한 인사는 "장 최고위원은 언론을 통해 사퇴의사를 밝혔다"며 "결정을 바꾸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장 최고위원 사퇴와 관계 없이 친윤계가 탄핵안 가결에 따른 책임론으로 '친한계'를 견제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권 원내대표는 여전히 '탄핵 반대'가 당론이라는 입장이다. 전날 원내대표 경선에서 72명이 권 원내대표에게 표를 보내면서 당론 변경 가능성도 낮다.
당론 변경을 위해선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3분의 2 이상(72명) 동의가 필요하다. 전날 경선에 앞서 한 대표가 윤 대통령 탄핵을 주장하며 친윤계와 설전을 벌였음에도 친윤계는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대 당론에도 친한계가 찬성 투표에 나선다면 이에 대한 책임도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여당 지지층에서 탄핵 반대 여론이 높은 점도 친윤계는 활용할 계획이다. 뉴스1이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10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보수층에서 탄핵 반대는 56%로, 찬성(43%)보다 높다. 지지층을 중심으로 친한계를 향해 '배신자 프레임'을 시도할 수 있다.
벌써 여권에서는 "혼자 살아남기 위해 비굴한 배신자가 돼선 안 된다"(김기현) "나 살자고 대통령을 먼저 던지는 것은 배신의 정치"(윤상현) 등 '배신자' 프레임을 꺼내 든 모습이다.
한편 기사에 인용된 여론 조사는 무선전화번호 RDD 방식으로 피조사자를 선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로 진행됐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p), 응답률은 14.4%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kb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