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도 전북도의원 "도시재생사업 운영·관리 지원 확대해야"

24일 이병도 전북도의원이 임시회에서 5분 발언을 하고 있다.(전북도의회제공)2022.10.24/뉴스1 ⓒ News1 김동규 기자
24일 이병도 전북도의원이 임시회에서 5분 발언을 하고 있다.(전북도의회제공)2022.10.24/뉴스1 ⓒ News1 김동규 기자

(전북=뉴스1) 김동규 기자 = 전북도가 도시재생사업 운영·관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특히 중간지원조직인 도시재생 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직원들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북에서는 2014년 군산시 월명동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91개소에 사업비 6460억원(국비 3803억원, 도비 642억원, 시·군비 2015억원)을 투입해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군산시 월명동과 산북동, 전주시 중앙동 등 3곳은 사업이 종료됐다.

이병도 전북도의원은 24일 임시회 5분 발언에서 “4년 정도의 사업을 한다고 수십 년에 걸쳐 쇠퇴한 도시가 하루아침에 재생될 수는 없다”며 “도시재생사업은 일종의 마중물 사업일 뿐 그 이후부터가 진짜 시작이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도시재생사업이 종료되면 중간지원조직인 현장지원센터도 사라지고 정부도, 광역지자체도, 시·군도 지원과 관심이 없어진다. 결국 남은 것은 텅 빈 거점시설과 주민들뿐이다.

정부는 최근 매년 전국적으로 100개소 내외로 선정하던 사업을 30개소로 줄이고 사업비 역시 절반을 줄이기로 했다. 또 의무적으로 편성하던 기존 현장지원센터 운영비를 전격 취소하고 지자체가 몫으로 떠넘겼다.

이 의원은 첫 번째로 현장지원센터 직원들의 열악한 처우를 지적했다.

현재 전북지역 도시재생 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는 총 43개소다. 각 센터별로 센터장과 사무국장, 팀장, 팀원 등 직원이 128명에 이른다.

이 의원은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은 도시재생사업의 성패를 가늠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친다”면서 “이들에 대한 적절한 보수가 지급되지 않아 사업 전체에 막대한 불이익이 미치고 있다”고 했다.

두 번째로는 사업종료 이후에도 운영 컨설턴트(지역 매니지먼트제도)를 통해 지속가능한 운영 및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병도 의원은 “도시재생사업의 결과물인 거점시설이 동네에 활기를 불어넣고 주민들에게 일자리와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면서 “진정한 도시재생에 도달할 때까지 주민들의 힘만으로는 어렵다. 반드시 행정과 전문가, 현장 활동가가 함께 매니지먼트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kdg2066@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