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화학연, 난치성 뇌종양 치료 새로운 가능성 열어

암세포 제거하는 활성 제어 인자 발굴 치료 효능 증진 원리 규명

연구 개요도. (KAIST 제공)/뉴스1

(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면역항암제는 암세포를 제거하는 T세포의 항암 면역작용을 강화하는 가장 주목받는 항암치료 요법이다.

하지만 난치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의 경우 면역관문억제제를 활용한 수차례 임상시험에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연구팀이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예방진단기술연구센터와 난치성 암종에서 T세포가 만성적 항원에 노출돼 기능이 상실되거나 약화된 원인을 분석, T세포 활성 제어 인자를 발굴하고 치료 효능 증진 원리를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교모세포종 실험 쥐 모델에서 억제성 Fc 감마수용체(FcγRIIB)의 결손을 통한 면역관문억제제의 세포독성 T세포 불응성을 회복해, 항암 작용 증대를 유도함으로 생존율 개선 효능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FcγRIIB 억제를 통한 항암 면역작용 증진 전략이 면역관문억제제의 효능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AIST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왼쪽)와 구근본 박사. (KAIST 제공)/뉴스1

이흥규 KAIST 교수는 “면역관문 치료제를 이용한 뇌종양 치료 임상 실패를 극복할 가능성과 다른 난치성 종양으로의 범용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 결과로 추후 세포독성 T 세포의 종양 세포치료 활용과 접근 가능성도 확인한 결과”라고 소개했다.

KAIST 구근본 박사(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예방진단기술연구센터 선임연구원)가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사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및 삼성미래육성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암 면역치료 학회가 발간하는 종양면역 및 치료 분야 국제 학술지 `암 면역 치료 저널' 온라인에 지난달 26일 게재됐다.

memory444444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