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보험산업 수입보험료 2.4% 증가…성장·수익·건전성은 하락 지속"
보험연구원, '2025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 개최
- 박재찬 보험전문기자
(서울=뉴스1) 박재찬 보험전문기자 = 보험연구원은 내년 보험산업 수입보험료가 건강 및 질병 중심의 보장성보험 증가와 퇴직연금 확대 등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금리 하락 및 규제환경 변화 등의 영향으로 내년 성장성과 수익성, 건전성 하락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보험연구원은 10일 '2025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황인창 보험연구원 금융시장분석실 실장이 '2025년 보험산업 전망'을, 정성희 연구조정실 실장이 '2025년 보험산업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내년 국내외 경제는 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 수준인 2%에 근접함에 따라 경기부양을 위한 완화적 통화정책으로의 전환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우리나라 경제는 고금리 기조 완화로 인한 설비투자와 민간소비의 증가세로 2.1% 수준의 완만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이다.
또 금리는 내년 후반기를 기점으로 점진적으로 하락해 내년 말 장기국채(10년물) 금리는 2% 후반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연구원은 내년 보험산업 수입보험료가 건강 및 질병 중심의 보장성보험 증가와 퇴직연금 확대 등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명보험 수입보험료는 건강보험 포트폴리오의 시장지배력 확대가 예상되나, 저축성보험과 변액보험이 감소하여 0.3%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또 손해보험 원수보험료는 장기손해보험과 일반손해보험의 성장세가 지속되면서 전년 대비 4.3% 증가할 것을 보인다. 내년 보험산업 초회보험료는 건강보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종신보험과 연금보험의 감소로 전년 대비 9.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험사 보험계약마진(CSM)은 생·손보사 모두 증가하지만, 증가율은 점차 둔화될 전망이다. 초회보험료 전망 등 CSM 변동요인을 고려할 때, 생보사 CSM 규모는 올해 60조2000억 원, 내년 60조5000억 원으로 증가율은 각각 3.3%, 0.5%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손보사 CSM은 올해 67조7000억 원, 내년 69조7000억 원으로 증가율은 각각 5.2%, 3.0%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금리 하락 및 해지율 증가는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금리 하락은 손해보험보다 생명보험 지급여력비율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해지율 증가는 생손보사 모두 지급여력비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보험산업은 성장성 둔화, 수익성 약화, 건전성 악화가 예상된다. 우선 CSM 성장률 둔화를 통해 수익성을 약화시키고, 수익성 약화는 내부 자본조달 능력 약화를 통해 건전성을 악화시키며, 건전성 악화는 보장여력 약화로 성장성을 둔화시킨다. 특히, 아직 반영하지 않은 규제 영향까지 고려한다면 실제 수치는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보험연구원은 인구·기후·기술혁신의 가속화가 장기 경영환경 변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보험산업은 경기 불확실성에 대응하면서도 미래 성장기반 마련을 위해 사업모형의 확장성·역동성·지속가능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또 통화정책 전환 및 규제환경 변화 등으로 인한 보험산업의 성장성, 수익성, 건전성 하락 우려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단기적인 대응도 필요하나, 보험산업의 보다 근본적인 체질 개선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노후 부양비 상승, 플랫폼 기반·경험 중시 소비성향 등에 대응해 금융·비금융시장으로 사업모형을 확장할 필요가 있고, 자산의 노후소득 전환 방안으로 보험금청구권 신탁, 생명보험금 담보대출 등 보험자산 유동화 방안 및 부동산 유동화 수단으로 주택연금 활용 검토가 필요하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여기에 판매인력·수수료 경쟁에서 소비자 중심의 영업 정책으로의 전환 및 대면채널 전문성과 디지털 채널 경쟁력 강화를 통해 소비자·장기적 관점의 판매채널 운영전략을 수립할 필요하다고 밝혔다.
끝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건강위험 인수역량 확대 및 계층별 불평등 완화를 위해 공·사 협력을 통한 포용적 보험 역할을 강화하고, 경제·금융환경 변화로 인한 건전성 악화에 대응해 선제적 부채관리 등 자본관리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jcppar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