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족쇄에 환원 요구까지…'사면초가' 내몰린 은행권 "호시절 끝났다"

금리인하·대출억제·제4인뱅까지…'겹악재' 만난 은행권
"어느 하나 쉬운 게 없네"…금융시장 불안 수습 '특명'도

2024.11.13/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오는 2025년 국내 은행권이 '사면초가'의 경영환경에 직면했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정부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로 인한 수익성 악화에도 불구하고 밸류업 프로그램과 소상공인 대상 '민생금융 시즌2' 같은 사회적 요구에 호응해야 하는 미션을 부여받았기 때문이다.

금융권 씽크탱크 한국금융연구원은 "은행권이 어느 하나 쉬운 것이 없는 대내외 경영환경에 직면했다"며 "가계대출 확대로 모든 숙제를 해결하던 시대는 이미 지나간 상황에서 생산적인 곳에 자금을 공급하는 은행 본연의 기능을 회복해야 할 시점"이라고 제언했다.

금리인하·대출억제·제4인뱅…'겹악재' 만난 은행권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올해 은행의 실적과 향후 경영과제' 보고서를 통해 "은행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는커녕 현재 상황을 유지하기에도 상당히 버거운 상황에 직면했다"고 짚었다.

우선 지난 11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전격적인 기준금리 인하로 인해 금리 피벗(통화정책 전환)이 본격 시작됐다. 통상 금리하락 시기에는 은행 이자이익이 감소해 전반적인 수익성이 악화하기 마련이다.

정부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 방침으로 그간의 '성장 공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된 것도 문제다. 그간 국내 은행은 상당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위주의 가계대출 확대로 성장해 왔으나,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정부의 강한 가계대출 억제정책이 예상되고 있다.

아울러 '제4인뱅'(인터넷전문은행) 출범 움직임이 본격화된 것 역시 기존 은행 경영에 부정적 요소다. 우 선임연구위원은 "은행권 경쟁 심화로 대출금리 인하 효과가 있다면 차주 입장에서는 긍정적이지만 반대로 기존 은행 입장에서는 새로운 경쟁압력이 등장하는 것"이라고 짚었다.

/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민생금융부터 밸류업까지…'사회적 요구' 계속

이처럼 은행업 경영환경이 만만치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은행을 향한 '사회적 요구'는 날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우 연구위원은 "금융권이 타 업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역할에 대한 목소리도 점차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표적인 예가 '민생금융 시즌2'다. 은행권은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고금리·고물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위해 '이자캐시백 프로그램' 등 총 2조 원 규모 지원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이른바 '민생금융 지원 시즌2'를 준비 중이다.

'밸류업'에 기대도 충족시켜야 하는 상황이다. 밸류업 정책의 핵심은 주주 환원정책을 강화해 국내 주식시장의 저평가를 해소하는 것이다. 우 선임 연구위원은 "과도한 수익 추구에 대한 비판을 감내하면서도 적정한 수익 확보를 통해 자본규제를 충족시켜야 한다"며 "주주환원정책의 강화를 통한 사회적 요구에도 호응을 해야되는 미션을 부여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비상계엄발 시장 불안 수습 '특명'까지

이에 대해 우 연구위원은 "안정적인 가계대출 확대로 성과를 만들던 시대가 이미 지나간 상황"이라며 "국내은행은 생산적인 곳에 자금을 공급하는 본연의 기능을 회복해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신성장동력, 핵심수출 산업 등에 대한 자금공급 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금융지주는 비상계엄 사태로 야기된 '금융시장 불확실성'을 수습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기도 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전날 5대 금융지주사 회장들을 만나 "금융지주사는 그간 위기시마다 높은 건전성을 바탕으로 금융 안정에 중추적 역할을 했다"면서 "기업 등 경제주체들의 경제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자금운용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금융지주사는 대외신인도 측면에서도 최전방에 있다"며 "외국계 금융사·투자자 등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각 지주사의 안정성은 물론 우리 금융시스템의 회복력에 대해서도 적극 소통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ukgeu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