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유기동물 10만 마리 시대… 보호센터 찾아가보니

(서울=뉴스1) 정윤경 기자 | 2012-05-18 01:50 송고
  유기동물 10만 마리 시대… 보호센터 찾아가보니경기도 양주시 한국동물구조관리협회 보호시설. 왼쪽부터 차례로 대형견과 중형견의 모습. © News1

 
한해동안 버려지는 유기동물의 수가 10만마리를 넘었다.
 
동물보호 관련 통계조사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개는 5만8000여마리, 고양이는 4만2000여마리 등이 버려지고 있다. 다른 동물도 1000여마리가 버려졌다.
 
한국동물구조관리협회 관계자는 "한때 호기심으로 길러졌다가 내쫓긴 동물들을 보호하고 안락사하는 데에 드는 비용이 한해 100억원을 넘는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현재 400여개 보호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2010년 기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자료에 따르면 일반국민 20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중 62%가 선진국 대비 국내 동물보호 수준이 ’낮다‘고 대답했다.
 
실제 국내 동물보호 수준이 어떤지 알아보기 위해 경기 양주에 있는 (사)한국동물구조관리협회를 찾았다.
 
  한국동물구조관리협회한국동물구조관리협회의 모습. 왼쪽부터 차례로 소형견 보호시설과 중형견 보호시설. © News1


보호센터에 들어서자마자 보이는 보호소는 각각 대형견, 중형견, 소형견 등으로 나뉘어 관리하고 있었다.
 
대형견은 한평 남짓 공간, 중형견과 소형견은 제 몸 하나 겨우 들어갈 정도 크기의 공간 등에 머물고 있었다.
 
◇동물보호센터 시설이 미미한 '개인 유기동물 보호소', '정부 지원 유기동물 보호소'는 그나마 나은 편
 
정부와 함께 일하고 있는 동물 관련교육기관  'Hello지구별'의 김세진 대표에게 '동물보호센터의 관리 수준'을 묻자 "동물보호센터 시설이 미미한 곳은 개인보호소인 경우가 많다"라고 대답했다. 
 
김세진 대표는 "개인이 동물을 아끼는 마음에서 한마리 두마리 보호하다가 늘어난 경우에는 관리수준이 좋지 않다"라며 "중성화 수술을 안시키다 보니 자체 번식하는 등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는데 이런 보호소는 사라지는 것이 유기동물을 위해서라도 좋다"고 설명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유기동물 보호센터 경우에는 사정이 좀 나은 편이다.
 
각 보호소마다 넉넉하지는 않지만 사료값 등을 지원받고 있다.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는 보호소의 경우 안락사를 시키기 전에 사료가 떨어져 굶어 죽기도 한다.
 
보호소에 머무는 동물들 중 잃어버린 주인을 다시 찾는 경우는 어느 정도일까.
 
김 대표에 따르면 10% 남짓한 동물들은 원 주인을 찾고, 35%정도의 동물은 새 주인을 찾으며 나머지 동물은 안락사 된다.
 
현행 동물보호법상 유기동물이 보호소로 옮겨진 뒤 10일 동안 주인을 만나지 못할 경우 수의사를 통해 안락사시킬 수 있다.
 
한국동물구조관리협회에서는 보호할 공간이 넉넉하지 않아도 최소 20일간 유기동물을 보호하고 있다.

김 대표에 따르면 악화된 경제상황으로 이전에 비해 ‘포기하다시피’ 버려지는 동물들이 많아졌다고 한다.
 
경제적인 사정으로 사료·미용·병원비를 감당하지 못하는 가구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유기묘유기 고양이들은 널따란 우리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다. 한국동물구조협회 모습. © News1

 
보호센터에는 10여마리 정도의 고양이가 꽤 넓은 우리 안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었다.
 
주인을 만나지 못해 안락사 당하는 개들에 비해 고양이들 상황은 좀 나은 편이다.
 
보호센터로 들어오는 수가 적고 주로 집고양이라 사교성이 좋은 편이다. 머무는 공간도 넉넉한 편이라 아직 안락사시키는 경우는 드물다.
 
◇유기동물 확산 방지 위해 마이크로칩을 동물에 투입하는 '동물 등록제'…실효성 의문 제기
 
LA에 거주하는 교민 진모씨(25)는 1년전 각 지역 유기견 보호센터를 연결하는 사이트(www.adoptapet.com)를 방문해 주거지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서 40달러 정도의 예방 접종비용을 내고 유기견을 입양했다.
 
이 때 유기견이 또 다시 유기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새 주인의 신상정보를 담은 마이크로칩을 동물에게 투입한다.
 
국내에서도 이처럼 유기동물에게 마이크로칩을 투입하는 제도를 내년부터 의무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그러나 지난 2009년 일부 지자체에서 시범 시행한 결과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해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애견협회는 △외부인식이 불가능한 점 △마이크로칩을 인식하기 위한 리더기가 필요한 점 △판독을 거쳐도 관련데이터에 접속을 해야 하는 점 등 새 주인을 찾아줄 때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돼 유기견 발생 방지를 위한 장치로 매우 부적당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오히려 ‘이름표 달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유기동물 입양자가 가장 바라는 것은 '동물들의 건강관리'
 
서울 서초구에 거주하는 최모씨(22)는 6년 전 유기견 '디코'를 입양했다.
 
당시 외관상 별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시간이 흐른 지금 디코는 턱뼈 세포가 괴사하는 희귀병에 걸렸다.
 
최씨는 "돌이켜 생각해보면 유기견들이 입양 전부터 가지고 있었던 병들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던 점이 아쉽다"며 "정밀검사를 할 경우 진료비가 어마어마하게 많이 나오기 때문에 부담이 되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강남구에 거주하는 신모씨(49·여)도 사정은 비슷하다.
 
신씨는 "처음 유기견을 데려왔을 때 보호센터에서 저렴한 사료를 먹였는지 털도 많이 빠지고 무엇보다 피부병에 걸려있는 상태였다"라며 "'위생'과 '건강'을 집중적으로 신경 써준다면 분명 유기견을 입양하려는 사람도 늘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보호센터에서 운영하는 '동물병원'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에 응급처치 정도의 시술만 하고 있다.
 
김세진 대표는 "진단하는 데 비용이 들어가긴 하겠지만 더 이상 유기동물이 늘어나는 것을 방치할 수만은 없다"며 "입양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믿고 안심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유기견 건강을 검진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120다산콜센터나 자치구청을 통해 신고된 동물들을 위한 구조활동을 벌이고 있다.
 
동물보호 관련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www.animal.go.kr)에서도 주인이 찾아갈 수 있도록 알려주고 있다.
 
열흘이 지나도록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해당 자치구가 그 동물의 소유권을 갖는다.
 
이후 입양에 관한 사항은 해당 자치구에서 처리하지만 자치구마다 입양절차가 다른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마이크로칩을 투입하는 '동물등록제'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이유도 '일부 지역'에서만 시행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동물등록제'나 '이름표 달기' 운동을 전국에서 일괄적으로 시행한다면 유기동물 발생건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국내 동물보호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각 교육기관에서 동물보호 교육과 홍보를 강화한다면 버려지는 유기동물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news2@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