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대유행인데 “일회용 컵 쓰지 말라고?”…소비자·업주 한숨

코로나로 확 풀렸던 '일회용품 사용' 4월1일부터 본격 규제
시민들 "취지 공감하지만 위생적 식문화 고려해야"

(대전=뉴스1) 심영석 기자 | 2022-03-20 06:00 송고 | 2022-03-20 20:05 최종수정
코로나19로 지난 2년간 확 풀렸던 ‘종이컵’ 등 일회용품 사용이 4월1일부터 다시 제한되면서 곳곳에서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국내 코로나 일 신규 확진자 수가 40만~50만명에 달할 정도로 폭발적인 확산세 상황에서 손님과 업주 모두 ‘위생적’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 News1 
코로나19로 지난 2년간 확 풀렸던 ‘종이컵’ 등 일회용품 사용이 4월1일부터 다시 제한되면서 곳곳에서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국내 코로나 일 신규 확진자 수가 40만~50만명에 달할 정도로 폭발적인 확산세 상황에서 손님과 업주 모두 ‘위생적’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 News1 

코로나19로 지난 2년간 확 풀렸던 ‘일회용 컵’ 등 일회용품 사용이 4월1일부터 다시 제한되면서 곳곳에서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국내 코로나 일 신규 확진자 수가 40만~50만명에 달할 정도로 폭발적인 확산세 상황에서 손님과 업주 모두 ‘위생적’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한번 풀린 ‘규제의 고삐’에 소비자들이 얼마나 동참해줄지 효과성에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20일 대전시에 따르면 환경부가 지난 2020년 1월 코로나19 발발 이후 일회용품 사용 규제 제외대상에 식품접객업을 포함했다.

이에 따라 대전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난 2년간 카페, 음식점 등의 매장 내에서 한시적으로 일회용품 사용을 허용해 왔다.

하지만, 플라스틱류 등 일회용품 폐기물이 급증하면서 급기야 환경부는 지난 1월 ‘일회용품 사용 규제 제외대상’에서 식품접객업종을 삭제하는 개정안을 고시했다.
다만, 환경부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업황 악화 등을 고려해 3개월 유예기간을 거쳐 오는 4월1일부터 본격 적용하기로 했다.

환경부가 이처럼 일회용품 사용 규제 강화에 나선 것은 코로나19 이후 플라스틱 등 재활용 폐기물 배출량이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 환경부의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지난 2021년 전국 지자체 공공선별장 처리량 기준이 종이류 25%, 플라스틱류 19%, 발포수지류 14%, 비닐류 9%씩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시의 재활용 폐기물 배출량도 지난 2019년 일 평균 267톤에서 코로나19 이후 해마다 배출량이 10~20% 정도 급증하고 있다는 게 담당 공무원의 설명이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40만명을 훌쩍 넘어서는 등 코로나 유행이 정점에 치닫는 상황에서 과연 식당에서 다회용 컵을 맘 편히 사용할 수 있겠냐는 불만들이 쏟아지고 있다.

대전 서구 갈마동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A씨(43·여)는 “카페 규모가 작아 플라스틱 컵 사용이 많지 않은데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라며 “무엇보다 규정을 지키려 해도 손님들이 원할 경우 일일이 설득해야 하는 상황이 난감하다”고 털어놨다.

대전 중구 태평동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B씨(48)는 “코로나19 이후 수저, 식기, 컵 등을 아무리 깨끗이 씻고 소독한다 해도 일단 손님들이 거부반응을 보인다”며 “생활폐기물을 줄이자는 취지에는 공감한다. 하지만 굳이 대유행 상황에서 강행하려는 이유를 모르겠다”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여기에 6월부터는 ‘일회용 컵 보증제’가 실시되는 데다 오는 11월24일부터는 일회용품 규제대상 품목에 종이컵,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빨대와 젓는 막대, 일회용 우산 등이 추가된다.

이처럼 해마다 급증하는 생활폐기물을 줄이려는 환경부의 각종 규제 정책이 연이어 쏟아지고 있지만 편리함·간편함을 추구하는 국민들의 의식은 여전히 요지부동이다.

실제, 최근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이 음식점 업주 및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일회용기 사용 및 다회용기에 대한 의견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89.3%가 ‘일회용기 때문에 환경오염이 심해진다’라고 응답했다.

그럼에도 다회용기 도입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선 △소비자들이 좋아하지 않아서(38%)(업주 입장) △비용이 더 비쌀 것 같아서(31.5%)(소비자 입장)등을 꼽았다.

대전 유성구 전민동 거주 C씨(53·여)는 “코로나19 이후 크게 바뀐 것 중 하나가 바로 국민들의 위생 관념이다. 코로나가 종식돼도 위생에 대한 민감도는 더욱 커질 것”이라며 “취지는 충분히 공감한다. 하지만 사용자·제공자 규제보다는 일회용품 제작단계부터 재질을 친환경적으로 사용하는 정책이 우해야 하는 것 아니냐”라고 반문했다.

이와 관련 대전시 관계자는 “2년 가까이 몸에 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비단 정부와 자치단체뿐만 아니라 기업, 소비자 등 모두가 부담감을 갖고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일상생활 속에서 다회용 컵 및 장바구니 사용 등 환경을 위한 실천과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요청했다.


km5030@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