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수원·용인 찍고 오산·평택으로…수도권 외곽까지 과열 확산

동탄신도시 인접 오산 아파트, 두 달새 5000만원 껑충…호가 ↑
"수도권 외곽 풍선효과 빌미로 거품 ↑…깡통주택·전세 우려"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2020-02-18 06:05 송고
경기도 수원시내 아파트의 모습. 2020.2.14/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경기도 수원시내 아파트의 모습. 2020.2.14/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수·용·성(수원·용인·성남) 부동산 시장 과열이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할 조짐이 보인다. 발 빠른 투자자는 벌써 수원과 용인에서 오산, 동탄신도시, 평택 등 상대적으로 덜 오른 지역으로 투자처를 옮기는 모양새다. 수도권 외곽까지 투기 바람이 불면서 실수요자와 세입자의 피해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수원 아파트값은 올해 들어 6주 만에 5.84% 올랐다. 전국 최고치다. 집값이 덩달아 오른 장안구(3.19%)를 제외하면 나머지 권선(6.89%)·팔달(6.17%)·영통구(6.57%)의 상승률은 모두 6% 이상이다. 용인 역시 같은 기간 3.23% 상승했다. 용인은 수지(4.34%)·기흥구(3.22%)를 중심으로 올랐다.

올해 서울 집값이 현재까지 0.19% 상승하는 데 그친 것과 사뭇 다른 모습이다. 지난해 12월 발표한 12·16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집값은 잡았으나 경기 남부는 놓친 셈이다.

부동산업계는 이를 두고 일찌감치 '풍선효과'로 분석했지만 정부는 이를 부인하고 오히려 서울 집값 안정화라고만 자평했다. 하지만 최근 수원 아파트값 변동폭이 2%를 넘어서자 정부도 수도권 풍선효과를 인정하며 후속 대책 마련에 나섰다. 현재 조정대상지역 확대,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추가 규제를 검토하고 있으나 4월 총선을 앞둔 집권 여당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 추가 규제 발표와 그 내용은 안갯속이다.

경기도 수원시내 아파트의 모습. 2020.2.14/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경기도 수원시내 아파트의 모습. 2020.2.14/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발 빠른 투자자는 벌써 수원을 떠났다. 정부가 추가 규제를 발표하기도 전에 이미 빠져나갔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수원 영통구 A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정말 빨리 움직인 투자자는 지난해 상반기 여름"이라면서 "분양가상한제 발표 전후로 상당수가 이곳을 찾기 시작했고 그때 들어온 사람들 상당수 이미 시장을 떠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 관심은 이들이 어디로 갔느냐다. 유동성 장세 속에서 부동산 외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발 빠른 투자자의 차기 행선지다. 업계는 수·용·성 다음으로 오산, 동탄신도시, 평택을 꼽았다. 서울과 가까운 구리, 남양주도 최근 투자자 유입이 활발하다고 했다. 업계 관계자는 "유튜버와 부동산 투자 강사가 버스를 대절해 오산과 평택 임장을 다녔다"며 "이미 세력이 들어간 것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오산, 동탄신도시, 평택은 수도권 외곽에 속한다. 동탄신도시를 제외한 두 지역은 상대적으로 시장 관심이 덜하고 집값 역시 낮은 곳이다. 규제 역시 없어 전세를 끼고 사는 갭투자 측면에서도 수월하다. 동탄신도시와 인접한 오산 외삼미동 '서동탄역 더샵 파크시티' 전용 74㎡는 지난해 11~12월 3억1600만~3억2500만원(1층 제외)에 손바뀜했다. 실거래가는 올해 1월에는 3억6800만원까지 올랐다. 단숨에 약 5000만원이 오른 셈이다. 현재 이 주택형 매물은 최소 4억원이며 대부분 4억1000만~4억2000만원이다.    

전문가들은 서울을 벗어나 수도권 외곽까지 투기 바람이 불면서 실수요자와 세입자의 피해가 우려된다고 했다. 시장보다 한발 앞선 정부의 대책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본부장은 "수도권 외곽지역이 풍선효과를 빌미로 거품이 생겨나는 현상들이 우려스럽다"라면서 "경기 호황기에는 가격이 뒷받침해주지만 과거 불황기에 거품이 빠지면서 깡통주택이나 깡통전세 등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투기과열지구 지정에 대한 기준을 수정하거나 좀 더 빠른 대응으로 비규제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yagoojoa@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