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뇌전증 발작 실시간 감시 센서 개발

(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2020-02-11 01:00 송고
포타슘이온 나노센서의 구조(IBS 제공)© 뉴스1
포타슘이온 나노센서의 구조(IBS 제공)© 뉴스1

국내 연구진이 뇌전증(간질)으로 인한 발작을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노도영)은 나노입자 연구단 현택환 단장(서울대 석좌교수) 연구팀이 뇌 여러 영역의 포타슘이온(K+) 농도 변화를 동시에 측정하는 고감도 나노센서를 개발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생쥐의 발작 정도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3대 뇌질환으로 꼽히는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의 불규칙한 흥분으로 인해 발생한다. 흥분한 뇌 신경세포는 포타슘(칼륨)이온을 바깥으로 내보내며 이완한다. 하지만 신경세포 내 포타슘이온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흥분상태를 유지하면 뇌전증의 증상인 발작과 경련이 일어난다.

뇌전증으로 인한 발작‧경련은 전체 인구의 1%가 가지고 있을 정도로 빈도가 높지만 지금까지는 실시간으로 신경세포의 변화를 포착하기 어려웠다. 신경세포가 흥분할 때 세포막의 이온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여러 이온(포타슘, 소듐(Na), 칼슘(Ca)) 중 포타슘이온의 농도변화만 선택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우수한 선택도와 민감도를 가진 포타슘센서를 개발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됐지만, 기존 기술로는 배양된 신경세포, 뇌 절편, 마취상태의 동물 등 제한된 환경에서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움직임이 뇌 신경세포의 활성에 즉각 반영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관찰을 위해서는 자유롭게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연구진은 나노입자를 이용해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생쥐에서 포타슘이온의 농도 변화만 선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고감도 나노센서를 개발했다.

우선 연구진은 포타슘이온과 결합하면 녹색 형광을 내는 염료를 수 나노미터(nm) 크기의 구멍을 가진 실리카 나노입자 안에 넣었다. 이 나노입자 표면을 세포막에 있는 포타슘 채널과 유사한 구조를 가져 포타슘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얇은 막으로 코팅했다. 막을 통과한 포타슘이온이 염료와 결합해 내는 형광의 세기를 토대로 포타슘이온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연구진은 움직이는 생쥐의 뇌 해마, 편도체, 대뇌피질에 나노센서를 주입한 뒤 해마에 전기적 자극을 가해 발작을 일으켜 포타슘이온 농도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부분발작이 일어나는 경우 자극이 시작된 뇌 해마에서 편도체, 대뇌피질 순으로 순차적으로 농도가 증가했다. 반면 전신발작 때는 3개 부위 포타슘이온 농도가 동시에 증가하고 지속시간 역시 길어짐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뇌 신경세포 활성을 측정하는 것은 물론 뇌의 여러 영역에서 동시에 농도 변화를 감시할 수 있어 발작의 정확한 발병기전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현택환 IBS 나노입자연구단장(IBS 제공)© 뉴스1
현택환 IBS 나노입자연구단장(IBS 제공)© 뉴스1

현택환 단장은 “개발된 나노센서를 이용하면 뇌전증에 의한 발작 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뇌 여러 영역의 포타슘이온 농도 변화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며 “향후 뇌전증이나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뇌질환들의 병리기전 규명과 진단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기술 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11일 오전 1시(한국시간) 게재됐다.


memory444444@nate.com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