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IBS,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ESS) 성능 향상 신소재 개발

(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2019-10-31 12:00 송고
연구진이 개발한 새로운 금속유기구조체(NiTAA-MOF) 구조(IBS 제공)© 뉴스1
연구진이 개발한 새로운 금속유기구조체(NiTAA-MOF) 구조(IBS 제공)© 뉴스1

국내 연구진이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ESS)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단장 로드니 루오프)이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슈퍼커패시터용 전극물질로 각광받는 금속유기구조체(MOF)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을 규명, 자성과 전도성을 동시에 지닌 새로운 소재(NiTAA-MOF)를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MOF는 슈퍼커패시터, 2차 전지 등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 소재로 주목받는다.

MOF는 금속과 탄소 물질(유기물)이 결합해 이룬 다공성 소재다. 전극으로 사용할 경우 넓은 표면적에서 산화-환원 반응을 활발히 일어나 높은 에너지 저장능력 및 성능을 갖는 에너지 소자를 만들기 유리하다.

MOF 기반 에너지 소자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MOF의 전기적 성질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하지만 MOF의 어떤 구조적·화학적 변화가 전기 전도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연구진은 MOF의 전기전도성을 높일 ‘히든카드’를 찾아내기 위해 우선 거대한 고리 형태의 새로운 금속유기구조체를 설계했다.

연구진이 설계한 덩어리(벌크) 형태의 니켈(Ⅱ)테트라[14]아자아눌렌-금속유기구조체(NiTAA-MOF)는 기본적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절연) 상태이다.

하지만 요오드 증기를 이용해 80도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진행하며, NiTAA-MOF를 화학적으로 산화시키면 300K(26.85℃)의 온도에서 0.01S/㎠(지멘스 퍼 제곱센티미터)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낸다.

이는 별도의 전도체를 첨가할 필요 없이 전극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높은 전기전도도다.

로드니 루오프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단장(연구원 제공)© 뉴스1
로드니 루오프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단장(연구원 제공)© 뉴스1

로드니 루오프 단장은 “2차원 금속유기구조체의 구조와 전기적 특성 간의 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제시한 것으로, 새로운 전기전도성 금속유기구조체를 개발할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며 “합성된 NiTAA-MOF는 에너지 소자뿐만 아니라 촉매, 센서 등 다양한 광전자공학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정우 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리간드 산화에 의해 부도체였던 2차원 금속유기구조체에 전기 전도성이 유도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며 “또 리간드 산화에 따라 MOF의 스핀 농도를 증가시켜 자성을 구현할 수 있음도 확인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화학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미국화학회지(JACS)’ 온라인 판에 지난 14일 실렸다.


memory444444@nate.com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