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산업 >

한국, AI 인재·기술·인프라 모두 뒤처져…"그래도 안하면 망한다"

SPRi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미래 한국' 콘퍼런스

(서울=뉴스1) 남도영 기자 | 2019-10-10 16:56 송고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이 10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미래 한국, 무엇을 해야 하는가' 콘퍼런스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뉴스1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이 10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미래 한국, 무엇을 해야 하는가' 콘퍼런스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뉴스1

한국의 인공지능(AI) 경쟁력이 인재·기술·인프라·데이터 등 필수 요소 전반에서 글로벌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AI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적으로 더 뚜렷한 목표와 전략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았다.
김진형 KAIST 명예교수는 10일 서울 양재동 앨타워에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개최한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미래 한국, 무엇을 해야 하는가?' 콘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지금의 AI는 앞으로 올 AI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라며 "AI를 한다고 꼭 성공할지는 모르겠지만 안 하면 망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AI 경쟁력을 좌우하는 △알고리듬 △컴퓨팅 파워 △데이터 등 필수 요소 측면에서 한국이 '위기상황'임을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AI 인력은 전 세계 인력의 1% 수준"이라며 "AI를 둘러싼 소프트웨어(SW) 산업 경쟁력은 OECD 19개국 중 14위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 "AI를 학습시키기 위한 컴퓨팅 파워는 필수 인프라인 클라우드 산업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대기업이 장악했다"며 "데이터 파워는 인구가 적어 중국을 따라갈 수 없고 개인정보보호 규제로 산업적 활용도 어렵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기술·산업적 측면 외에도 AI 기술에 적응할 사회적 준비도 미진하다고 꼬집었다. 특히 노동환경 변화와 양극화에 따른 사회적 갈등 심화 등 AI 기술이 지닌 여러 역기능에 대한 대응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그는 "특히 일자리 문제가 심각하다"며 "현재 정부에서 만드는 일자리는 모두 없어질 일자리고 새로 만들어질 일자리는 훈련이 필요한데 그런 준비가 안 돼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AI로 무엇을 할지, 또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고령화, 양극화 등 사회문제 해결과 산업 경쟁력 강화 등 우리가 가진 문제를 먼저 떠올리고 인공지능이 뭘 할 수 있는지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미 선진국이 잘 하고 있는 기초연구 분야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등 인프라 분야보다는 요소기술을 모아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응용분야가 한국에 더 적합한 방향"이라며 "한국은 새로운 기술을 가져다 적용하는 데 경쟁력이 있는 만큼 현재 강점을 가진 반도체, 자동차 등의 산업에 먼저 AI를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AI 시대 청사진은 조만간 정부가 발표할 'AI 국가전략'에서 드러날 전망이다.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고 5세대(5G) 이동통신,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거대한 변화의 방점"이라며 "정부는 AI를 범국가적인 혁신 과제로 보고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큰 방향은 민간의 노력을 정부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hyun@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