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산업 >

'토종 다윗vs 외산 골리앗'…韓 금융 클라우드 시장서 맞붙는다

NBP '금융 특화 클라우드 시스템' 내놓고 시장 공략
AWS, 국내외 인증 앞세워 국내 금융권에 '러브콜'

(서울=뉴스1) 남도영 기자 | 2019-04-19 07:00 송고
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AWS(아마존웹서비스) 서밋 서울 2019'을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2019.4.17/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AWS(아마존웹서비스) 서밋 서울 2019'을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2019.4.17/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올해부터 금융기관의 클라우드 도입 문턱이 낮아지면서 이 시장을 잡기 위한 국내외 업체들의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거대 외산업체들과 '홈 그라운드'의 이점을 살린 국내 업체들의 접전이 예상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부터 개인신용정보와 고유식별정보 등 중요정보를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로 처리할 수 있도록 '전자금융감독규정'이 개정되면서 금융권이 클라우드 업계의 '큰손'으로 부상하고 있다.

'토종'의 대표 선수 네이버는 금융권을 발판 삼아 국내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NBP는 한국거래소(KRX)의 자회사인 코스콤과 상반기 내 서울 여의도 인근에 '금융 클라우드 존'을 마련하고, 오는 8월 금융에 특화된 클라우드 시스템을 오픈 할 계획이다.

지난 18일 네이버는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각'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클라우드 자회사인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을 통해 금융 클라우드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한다고 밝혔다.

박원기 NBP 대표는 "코스콤은 금융에 특화된 플랫폼을 개발한 경험이 많은 회사"라며 "클라우드 플랫폼에 이런 경험을 결합하면 국내 금융권에 많은 혜택을 제공할 수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그동안 클라우드 시장에서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선도적인 기술력을 앞세운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의 글로벌 사업자들에게 밀려 별다른 존재감을 나타내지 못했다.

하지만 장애와 보안에 극도로 민감한 금융 시장에선 이들과 경쟁할 '틈새'가 있다는 판단이다. 이날 네이버는 본사가 국내에 있는 만큼 365일 24시간 고색센터를 가동해 신속한 서비스 장애 복구와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을 내세웠다. 지난해 11월 AWS 장애사고 당시 논란이 된 '늦장 대응' 등의 문제를 파고든 것이다.

현재 네이버 외에도 KT, NHN 등의 국내 기업들도 금융 클라우드 보안 규정을 충족한 별도의 데이터센터 구역(존)을 마련하고, 유사한 전략으로 금융권 시장을 공략 중이다.

이에 질세라 글로벌 기업들도 금융 클라우드 시장 공략을 서두르고 있다. 세계 1위 클라우드 사업자인 AWS는 지난 17일부터 이틀 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AWS 서밋 서울 2019' 행사를 통해 금융권을 향한 러브콜을 보냈다.

이번 행사 기조연설자로 나선 아드리안 콕코로프트 AWS 부사장은 "2016년 서울 리전 개설을 시작으로 2017년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 최초로 한국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획득했다"며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금융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AWS는 이번 행사에서 금융 클라우드 보안 인증 절차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는 세션을 열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AWS 측은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가 지난 8일 최근 싱가포르 'MTCS' 인증을 획득해 금융보안원의 '금융 분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 가이드'에서 제시한 109개 기본 보호조치 항목에 대한 평가를 생략할 수 있게 됐다고 소개했다.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서 AWS의 뒤를 바짝 쫓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 역시 지난해 11월 ISMS 인증을 받으며 등 금융 분야 진출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오라클, 구글도 각각 올해와 내년 국내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하고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글로벌 업체들이 70% 이상을 차지하며 국내 업체들이 규모면에서 크게 밀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다만 보안이나 규제에 민감한 금융·공공 분야에선 국내 업체들이 신속한 밀착 지원으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yun@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