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트라우마 치료 뇌 회로 발견…기초硏 동물실험

(대전ㆍ충남=뉴스1) 김태진 기자 | 2019-02-14 03:00 송고
양측성 시각 자극을 사용한 공포기억 반응-감소의 효과(IBS 제공)© 뉴스1
양측성 시각 자극을 사용한 공포기억 반응-감소의 효과(IBS 제공)© 뉴스1

국내 연구진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일명 트라우마)를 치료하는 뇌 회로를 발견했다.
머릿속 공포에 대한 기억을 지울 수 있어 정신적 외상 치료에 청신호가 켜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신희섭 단장 연구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일명 ‘트라우마’를 치료하는 심리치료 요법의 효과를 세계 최초로 동물실험으로 입증하고, 관련된 새로운 뇌 회로를 발견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진은 고통스러웠던 상황에 대한 기억으로 공포반응을 보이는 생쥐에게 좌우로 반복해서 움직이는 빛 자극을 줬을 때, 공포반응이 빠르게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다.

시간이 지난 후, 다른 장소에서 비슷한 상황에 처할 경우에도 공포 반응이 재발하지 않았다.
양측성 자극을 사용한 공포기억 반응-감소의 원리(IBS 제공)© 뉴스1
양측성 자극을 사용한 공포기억 반응-감소의 원리(IBS 제공)© 뉴스1

연구진은 뇌 영역 중 공포기억과 반응에 관여하는 새로운 뇌 신경회로도 발견했다.

연구진은 행동/관찰 실험, 신경생리학 기법 등을 통해 공포반응 감소 효과는 시각적 자극을 받아들인 상구(안구운동과 주위집중 담당)에서 시작해 중앙 내측 시상핵(공포기억 억제 관여)을 거쳐 편도체(공포 반응 작용)에 도달하는 신경회로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경험적으로만 확인된 심리치료 기법 효과를 동물실험으로 입증함으로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법의 과학적 원리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정신과에서 활용되는 심리치료법의 효과를 동물실험으로 재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공포기억을 회상하는 동안 좌우로 움직이는 빛이나 소리 등이 반복되면 정신적 외상이 효과적으로 치료된다는 사실은 기존에도 보고된 바 있었지만 원리를 알 수 없어 도외시되는 경우가 있었다.

신희섭 연구단장(맨 왼쪽)과 연구진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IBS 제공)© 뉴스1
신희섭 연구단장(맨 왼쪽)과 연구진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IBS 제공)© 뉴스1

신희섭 연구단장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단 한 번의 트라우마로 발생하지만 약물과 심리치료에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공포기억 억제 회로를 조절하는 약물이나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에 집중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쉽게 치료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네이처(Nature)’ 온라인 판에 14일 오전 3시(한국시간) 게재됐다.


memory444444@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