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노후 대비·집 장만 부담에 "소득 늘어도 허리띠 졸라매"

최근 14년간 가계 소득 67.2% 늘었지만 소비 50% 증가
"저소득층 소득증가율 대비 소비증가율 격차 커"

(서울=뉴스1) 류석우 기자 | 2018-10-22 11:00 송고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 News1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 News1

노후 대비와 집 장만 부담, 일자리 불안감에 늘어난 소득만큼 소비는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불안에 대한 심리적인 우려가 소비 진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03년부터 2016년까지 14년간 가계동향을 분석한 결과, 국내 가구의 평균 소득은 263만원에서 440만원으로 67.2% 증가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기간 동안 소비지출은 170만원에서 255만원으로 50% 늘어나는 데 그쳤다. 공과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도 218만원에서 359만원으로 64.3% 증가했으나 소비지출 증가폭은 이를 따라잡지 못했다.

한경연은 소비 증가폭이 소득 확대폭을 밑도는 배경으로 △미래에 대한 불안감 △부동산 가격 상승 △일자리 불안감 3가지를 지목했다. 고령화에 따른 노후 대비 차원에서 소비를 줄이면서 소득 증가율이 소비지출 확대폭을 웃돌았다는 것이다.

특히 부동산 가격 상승폭이 소득 증가폭을 크게 웃돌면서 소비가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내 집을 마련하려면 더 많은 돈을 모아야하는 상황에 놓이면서 소비가 늘지 않았다는 의미다.
또 일자리에 대한 불안으로 현재 소비를 줄인 것도 이같은 결과가 나온 이유 중 하나로 해석된다.

계층별로는 저소득층일수록 소득 증가 대비 소비 증가율이 더뎠다. 같은 기간 1분위의 처분가능소득과 소비 증가율은 각각 58.5%와 38.1%로 20.4%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반면 5분위는 각각 64.5%와 52.7%로 11.8%포인트 차이가 났다. 소득 5분위는 국민의 소득을 5구간으로 나눈 분류법이다. 5분위는 최상위 20%, 4분위는 소득 상위 21~40%, 3분위는 소득 상위 41~60%, 2분위는 하위 21~40%, 1분위는 하위 20%를 의미한다. 

저소득층의 경우 3가지 소비성향 변화 요인 중 미래와 일자리에 대한 불안감을 상대적으로 크게 느껴 소비 증가 폭이 가장 적었다는 분석이다.

한편 전체 소비지출 비중에서 가장 많이 증가한 분야는 보건의료 부문으로, 5.8%에서 7.0%로 1.2%포인트 올랐다. 소득확대로 건강에 대한 지출이 늘면서 건강부문에 대한 소비지출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해석된다.

소득 분위별로 소비지출 변화도 다르게 나타났다. 1·2분위는 보건의료와 주거·수도·광열 분야에서 빠른 증가세를 보였고 4분위에서는 교육비와 자동차 구매에서 소비 지출이 증가했다. 5분위에서는 가정용품과 가사서비스 지출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많은 4·5분위 계층은 교육이나 양질의 서비스에 쓰는 비용을 늘린 결과다.

한경연 관계자는 "소득 증가에 비해 소비 증가 폭이 낮은 배경은 부동산 가격 급상승, 노후 대비 등 경제 불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며 "가계의 소비 진작을 유도할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구경제연구원 제공) © News1
(한구경제연구원 제공) © News1



sewryu@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