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도시재생이 미래다]④‘지역민의 자발적 참여’가 사업 성패의 열쇠

울산 방어진 축제에 주민들 홍보 등 자발적 참여
단순 의견표출에서 사업방향 결정으로 진화

(서울=뉴스1) 김종윤 기자 | 2018-10-23 07:00 송고 | 2018-10-23 09:23 최종수정
(자료제공=LH)© News1
(자료제공=LH)© News1

#울산 동구 방어동에 딸린 조그마한 항구 방어진. 해방 이후 1970년대까지 포경어업 번성으로 전성기를 보냈다. 하지만 1986년 포경업 금지로 쇠퇴기에 접어들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조선업 호황으로 반전을 맞았지만 그마저도 힘을 잃었다. 이때 주민들은 지역축제 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할 조직을 꾸렸다. 이들은 직접 홍보활동에 참여하면서 축제 활성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도시재생사업이 전국 곳곳에서 활기를 띠고 있다. 내가 살고 있는 도시를 직접 바꿔보겠다는 목표 의식을 가진 지역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그 결과물들이 가시화되고 있어서다. 정부도 도시재생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예산과 인원을 대폭 강화하고 있어 주민참여 기회는 많아질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23일 국토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부터 '도시재생뉴딜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사업화 교육비·지원비' 사업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사업 가운데 우수사례로 울산 방어동 도시재생이 꼽힌다. 쇠락한 항구마을이 축제를 통해 새로이 이름을 알리게 된 배경에는 주민들의 참여가 원동력이 됐다. 주민들 스스로 홍보활동에 참여하고 소식지 발간을 위한 교육도 자발적으로 받았다. '마을신문사'와 '국제문화·방어진 축제'를 운영할 조직을 지역주민 스스로 구성한 것이다. 이를 계기로 지역경제도 과거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게 됐다. 주민참여 도시재생이 경제 활성화뿐 아니라 공동체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도 큰 수확이다.

이 사업을 측면 지원하는 LH 관계자는 "도시재생사업 주체인 주민과 다문화 가족 참여로 공동체 의식이 향상됐다"며 "올해도 정부는 주민참여 활성화 44곳에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토부는 주민참여 활성화와 지역기반 도시재생 경제주체 발굴·육성을 위해 △도시재생 뉴딜교육 △주민참여 프로젝트팀 △국토교통형 예비사회적기업 지정 △사업화 지원사업 △소규모 재생사업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실제 지난 4월 '도시재생 뉴딜 소규모 재생사업'이 추진됐다. 10인 이상 주민(조직)이 기초·광역지자체에 제안한 사업이 그 대상이다. 

이중 '주민참여 프로젝트'는 국비 3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주민참여 활성화와 지역기반 실행주체의 육성 지원이 목표다. 정부는 사업참여 의도를 밝힌 104개팀 가운데 33개팀을 최종 선발했다.

대구 북구에서 제안한 '대구역 뛰뛰빵빵 청춘시대' 프로젝트가 최종 선정된 사업 중 하나다. 대구역 지하상가는 현재 절반 이상이 문을 닫았다. 역세권이라는 좋은 입지와 다양한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도심 대표적인 슬럼화 지역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퍼져 있다. 프로젝트는 이곳을 주민과 시민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공간으로 재구성해 예술 아지트로 조성하겠다는 목표로 추진됐다. 이를 위해 주민을 위한 거리 개선→인구유입 방안 마련→예술 문화 창업공간 구축이라는 로드맵 마련에 돌입했다.

한옥마을 현장을 둘러보고 있는 해커톤 참석자/© News1
한옥마을 현장을 둘러보고 있는 해커톤 참석자/© News1

정부는 창업·일자리 창출 도모를 위해 지역청년들이 도시재생의 주체로 참여시키기 위해 해커톤 사업을 마련했다. 해커톤이란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일정한 시간 집중작업을 통해 성과물을 도출해 내는 일종의 경진대회를 말한다.

올해 도시재생을 주제로 한 해커톤은 2회 진행됐다. 지난 2월 서울 지역(서울 홍대·문래·대림) 현장탐방 해커톤에는 청년 88명을 포함한 120명이 참여했다. 이어 7월엔 전북 전주에 지역재생에 관심이 높은 청년 81명이 동참했다.

실제 국토부와 LH는 청년기업가와 해커톤 참여자들의 만남을 주선하고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또 전주 뉴딜사업 선정지역 현장탐방과 인터뷰를 마련했다.

LH 관계자는 "도시재생과 관련한 창업에 관심 있는 청년들이 지역 문제를 찾고 해결책을 찾는 과정"이라며 "청년창업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는 도시재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청년 스타트업, 사회적 기업, 지역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들 도시재생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셈이다. 

정부도 주민참여는 단순 의견을 표명하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사업 방향과 주요 의사결정이 자유로운 참여 속에 이루어진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양한 요구사항과 자원을 파악해 지역특성에 맞는 사업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민참여는 지역사회 변화와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사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게 된다"며 "주민의 요구 사항과 지역자원 파악을 통해 특성에 맞는 사업을 실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토부는 오는 25∼27일 대구삼성창조캠퍼스에서 '도시재생 한마당'을 개최한다. 행사는 정부·지자체의 도시재생 정책 및 사업을 홍보하고, 우수 사례를 공유하는 장이 될 전망이다.


passionkjy@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