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도시재생이 미래다]①2년만에 사업 본궤도에…“지역 살릴 유일한 대안”

도시재생 뉴딜사업 167곳 선정, 재정투입도 본격화
"지역경제 살리고 쇠퇴한 구도심에 활기 불어넣을 것"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2018-10-21 07:00 송고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로 선정된 경남 통영의 폐조선소 부지의 모습(뉴스1 자료사진)© News1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로 선정된 경남 통영의 폐조선소 부지의 모습(뉴스1 자료사진)© News1

문재인 정부의 대표적인 국책사업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첫해보다 사업 규모를 확대하고 투입 재원을 늘리는 등 가시화 되면서 도시재생의 방향도 명확해졌다는 평가다. 정부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인구감소와 고령화 현상으로 지역 경기 침체 등 어려움을 겪는 지방 도시에 생기를 불어넣겠다는 계획이다.  
21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8월 말 전국 99개 지역을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으로 선정했다.

대상지는 사업 첫 해인 지난해 68곳보다 31개 더 늘었다. 지난해 부동산시장 과열 우려로 제외했던 서울 지역이 포함됐다. 중랑구 묵2동 일반근린형, 은평구 불광2동 주거지지원형 사업, 금천구 독산1동 우리동네살리기 등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지 7곳이다. 장한평 차시장과 세운상가 등 대형사업지 3곳은 집값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로 제외됐다.

사업지 확대에 따라 투입되는 예산도 크게 늘 전망이다. 국토부가 추산한 올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총 사업비는 13조7724억원이다. 지난해 시범사업지 예산(4조4160억원)의 3배 이상이다. 국비와 지방비가 각각 2조6188억원, 2조8775억원 들어가며 한국감정원,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 공공기관 2조3886억원, 민간투자 4조1874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정부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위해 연간 10조원씩 5년간 총 50조원을 사용할 계획이다.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참여도 적극적이었다. 지난 7월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청을 받은 결과, 총 264곳이 신청했다. 지자체가 223곳, 공공기관이 41곳이다. 지난해 탈락한 153곳 가운데 94곳이 재신청했을 정도로 관심이 높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우리동네살리기 △주거지지원형 △일반근린형 △중심시가지형 △경제기반형 등으로 나뉜다.

올해 사업은 일반근린형이 34곳으로 가장 많고 주거지지원형이 28곳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일반근린형, 주거지지원형, 우리동네살리기 등은 비교적 소규모 사업으로 생활인프라를 공급하고 지역주민의 생활여건을 개선하는 사업이 핵심이다.

중심시가지형과 경제기반형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중대형 사업도 20곳이다. 중심시가지형과 경제기반형은 기존 유형과 달리 쇠퇴한 산업 기능을 살리고 일자리를 창출해 도시 경쟁력을 회복하는 데 주력한다.

정부 안팎에서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방향이 선명해졌다고 평가했다. 막연했던 도시재생 사업이 침체된 지역 경제를 살리고 쇠퇴한 구도심에 활기를 불어넣는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많이 반영됐다는 평가다.

올해 사업지 중 대표적인 곳이 강원 태백시다. '에코 잡 시티(ECO JOB CITY) 태백'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될 태백시 뉴딜사업은 폐탄광을 산림재생에너지파크, 스마트팜, 관광파크 등으로 재개발할 계획이다. 태백시를 한국형 '촐베라인(Zollverein)'으로 재탄생시키겠다는 것. 독일 촐베라인은 유럽 최대 탄광이었으나 폐광 이후 쇠퇴했으나 도시재생을 거치면서 초대형 문화예술 복합단지로 변신했다.

정부 관계자는 "외국 사례를 살펴봐도 도시재생의 궁극적 목표는 지역경기 활성화, 일자리 창출, 주거환경 개선 등을 포괄할 수 있는 개발"이라며 "지방도시가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쇠퇴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시재생은 필요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대구광역시와 공동으로 오는 25~27일 대구삼성창조캠퍼스에서 '도시재생 한마당'을 개최한다. 행사는 정부·지자체의 도시재생 정책 및 사업을 홍보하고, 우수 사례 및 성과를 공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yagoojoa@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