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빛으로 2차원 반도체 전도도 10만 배 높여…IBS

(대전ㆍ충남=뉴스1) 김태진 기자 | 2018-09-14 00:00 송고
2차원 반도체 '레이저 도핑' 모식도(IBS 제공)© News1
2차원 반도체 '레이저 도핑' 모식도(IBS 제공)© News1

국내 연구진이 빛으로 2차원 반도체 전도도를 10만 배 높이는데 성공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김두철)은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조문호 부연구단장(포스텍 신소재공학과 무은재 석좌교수) 연구팀이 2차원 반도체에 빛을 쪼이면 스스로 도핑이 되는 '레이저 도핑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술은 수 초간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만으로 도핑을 할 수 있어 쉽고 경제적이다.

연구팀은 또 2차원 반도체 단일 집적 회로를 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차세대 반도체 후보로 주목받는 원자층 2차원 반도체는 둘둘 말리는 전자기기, 사물인터넷(IoT) 전자 부품, 극초소형 컴퓨터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소재이다.

그러나 고성능 회로를 만들기 위한 도핑 기술이 아직 없다는 점이 난제는 남아있다.

도핑은 일종의 불순물을 주입해 반도체의 전도율을 증가시키는 공정으로, 전자기기 제작에 필수적이다.

상용화된 전자기기는 액체나 기체 상태의 이온을 주입해 도핑한다.

그러나 원자 두께로 얇은 2차원 반도체에 불순물을 주입할 경우 깨질 가능성이 있고, 또 농도를 섬세하게 조절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연구팀은 서승영 연구원(포스텍 신소재공학과·제1저자) 주도의 이번 연구에서 인위적 불순물을 주입하지 않고도 가시광선 조사를 통해 원자층 2차원 반도체 트랜지스터 소자의 p-형 도핑에 성공했다.

주사터널링현미경(STM)으로 관찰한 원자층 2차원 반도체의 모습(IBS 제공)© News1
주사터널링현미경(STM)으로 관찰한 원자층 2차원 반도체의 모습(IBS 제공)© News1

연구팀은 주사터널링현미경(STM)으로 반도체를 관찰하며, 전자가 많은 형태의 n-형 반도체에 초록색(파장 532nm) 레이저 빛을 수 초간 조사했다.

레이저가 조사된 반도체 표면과 내부에는 국소적인 원자결함이 생기고, 이후 결함이 생긴 공간으로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정공이 주입되면서 최종적으로 정공이 많은 p-형으로 도핑됐다.

연구팀은 빛의 세기와 조사 시간을 조절해 도핑 농도를 제어하는 데도 성공했다. 정공의 농도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전기전도도는 최대 10만 배까지 높아졌다.

이 레이저 도핑 공정은 대기 중에서 수 초 내에 빠르고, 대면적 도핑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도핑 기술에 비해 쉽고 경제적이며, 집적 회로 상용화 기술에 곧바로 응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개발한 이 도핑 공정을 이용해 다양한 2차원 반도체 회로를 제작하는 데도 성공했다.

조문호 부연구단장은 “반도체 물질과 빛의 상호 작용에 대한 기초 과학 연구가 차세대 반도체 회로 응용 기술로 바로 환원됐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기초과학-응용기술 순환 일체형 연구는 미래 기술 개발에 있어 새로운 가치 창출 방식의 핵심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전자 소자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 14일자(한국시간)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조문호 부연구단장(왼쪽), 서승영 연구원© News1
조문호 부연구단장(왼쪽), 서승영 연구원© News1



memory444444@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