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산업 >

정부 왜 '데이터산업' 공들이나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석유'같은 핵심자원
데이터산업 신규시장 창출하고 전통산업도 활성화

(서울=뉴스1) 강은성 기자 | 2018-08-31 18:03 송고 | 2018-08-31 19:13 최종수정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경기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서 '데이터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모두발언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경기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서 '데이터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모두발언하고 있다.  

정부가 내년에 1조원을 들여 '데이터산업'을 활성화시키고 이를 위해 규제개선을 추진하는 것은 데이터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원유'와도 같은 귀중한 자원이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31일 경기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서 가진 '데이터경제 활성화 규제혁신안' 발표에 참석해 '데이터 고속도로를 만들겠다'고 말할 정도로 데이터 자원에 대한 비중은 갈수록 커지고 있는 추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이제 대한민국은 인터넷을 가장 잘 다루는 나라에서, 데이터를 가장 잘 다루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곳곳에서 쌓이고 있는 공공데이터마저 각종 규제에 가로막혀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당연히 데이터 활용수준은 낮다. 지난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빅데이터 활용과 분석 수준은 조사대상 63개국 가운데 56위다. 꼴찌를 겨우 면한 꼴이다.

미국과 유럽, 일본 심지어 중국 정부마저 이미 데이터경제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수립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세계 주요국들은 '데이터 경제'로 신속하게 나아가고 있기에, 우리도 그에 발맞춰 신속하게 전략을 세워나가지 않으면 안된다"는 발언에서 정부의 다급함이 느껴진다.

실제로 세계 데이터 시장규모는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매일 엄청난 트래픽이 쌓이고, 이 트래픽은 모두 '빅데이터'의 원천이 된다. 시장조사업체 IDC가 분석한 바에 따르면 지난 2017년 1508억달러였던 데이터경제 규모는 오는 2020년 2100억달러로 커진다. 연평균 11.9% 성장이다. 
2017년 기준 세계시장에서 미국의 데이터경제 규모가 788억달러로 52.3%를 차지한다. 서유럽이 341억달러로 22.6% 비중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6조2973억원(56억6000억달러) 수준이다. 세계시장의 고작 3.8%다.

대통령까지 참석해 범정부 차원에서 '데이터경제 활성화'를 외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미래먹거리는 모두 4차 산업혁명에서 나오는데, 4차 산업혁명의 자원인 데이터 산업을 더이상 방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주도권 확보는 고사하고 영원히 낙오될 수 있다는 위기감의 발로로 해석된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우리 자본으로 깔아놓은 IT인프라에 구글과 페이스북같은 외산기업이 모두 열매를 따가는 꼴"이라며 "5G 상용화에 앞서 데이터산업 기반을 다져놓지 않으면 우리는 기회를 잃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더구나 데이터산업은 성장이 더딘 전통산업을 탈바꿈시키는 역할도 한다. 선진국들은 전통산업에 데이터산업을 결합시켜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에서 비용절감을 효과를 이미 거두고 있다.
 
대표적으로 제너럴일렉트로닉(GE)은 자사의 선박‧항공기엔진‧발전소터빈‧의료기기 등에 부착한 센서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고객에게 제공해 연간 200억달러의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지멘스도 제조설비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분석해 생산라인을 재조정하면서 생산량을 8배 늘렸다. 인텔은 칩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분석해 제조비용 300만달러 절감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데이터 이용 패러다임을 바꾸고 '거래'를 활성화 하는 등 이전과는 다른 정책을 통해 데이터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한다"면서 "이를 위해 전문인력 양성과 제도개선, 규제개혁을 차근차근 이행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제시한 데이터 가치사슬 생태계(4차산업혁명위 제공)© News1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제시한 데이터 가치사슬 생태계(4차산업혁명위 제공)© News1



esthe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