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임시정부 법통성은 헌법에서 언제 사라졌을까

3.1운동 100주년 '서울과 역사' 발간

(서울=뉴스1) 장우성 기자 | 2018-07-25 11:15 송고 | 2018-07-25 14:31 최종수정
서울과 역사 99호(서울시 제공)© News1
서울역사편찬원은 2019년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는 내용을 담은 '서울과 역사' 제99호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메타역사로서의 3.1운동사 연구, 3.1운동 인식사 재검토’라는 주제로 구성됐다. 3.1운동 관련 특집논문 5편과 일반논문 2편이 담겼다. 

최우석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은 특별논문인 '3.1운동, 그 기억의 탄생'은 3.1운동 직후 관련 역사서가 쓰인 과정과 내용의 차이를 검토했다. '한국독립운동사략 상편'을 쓴 김병조는 외교독립론 입장,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쓴 박은식은 무장투쟁론 입장을 기반으로 3.1운동을 서술했다고 분석했다.

박종린 한남대 역사교육과 부교수가 쓴 '해방 직후 사회주의자들의 3.1운동 인식'에 따르면 3.1운동은 식민지 조선 사회주의자들에게 뿐 아니라 해방 직후 사회주의자들에게도 주목의 대상이었다. 3.1운동 당시 제기된 문제점들이 해방 직후 조선에서도 미해결 과제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홍종욱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는 '북한 역사학의 3.1운동 인식'에서, 유물사관에 충실한 건국 초기, 민족의 주체성을 강조한 1960년 전후, 평양의 운동과 김일성 가계의 활약에 주목한 1980년대로 구분해 북한의 3.1운동 인식 특징을 분석했다.
김정인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는 '3.1운동과 임시정부 법통성 인식의 정치성과 학문성'를 통해 임시정부의 법통성 인식이 이념 지형 속에서 어떻게 변해 가는지를 추적했다. 임시정부 법통성은 ‘3.1운동에 의해 건립된 임시정부’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정부의 제헌 헌법 전문에 명문화됐다. 이후 군사 정부가 삭제했다가 1987년 다시 헌법 전문에 들어갔다.

이지원 대림대학교 교수는 '역대 한국 정부의 3.1절 기념사를 통해 본 3.1운동의 표상과 전유'에서, 정부 수립 이래 대통령 기념사에 나타난 3.1운동의 정신은 국민국가의 민족정신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내용과 의미는 각 정권의 통치 전략, 시대 상황의 변화에 따라 달라졌다고 봤다.

이 밖에도 '서울과 역사' 99호에서는 서울 역사 관련 일반논문도 함께 실렸다. '웅진시대 백제의 한성'과 한국전쟁 전후 아동복지활동가를 다룬 '전쟁고아의 어머니, 황은순(1903~2004)의 아동복지활동' 등 총 2편이다.

이 책은 서울시청 시민청 지하1층 ‘서울책방’에서 1만원에 살 수 있으며, 서울역사편찬원 홈페이지(hitory.seoul.go.kr)에서 다운로드 받거나 열람할 수 있다.


nevermind@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