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청년일자리 대책 설문下]청년 실업난 원인 '높은 취업문턱' 1순위

뉴스1-시원스쿨 설문조사, 구직난 이유 1위 '취업 문턱'
대기업·공무원 선호도↑…"현장 미스매칭 해소돼야"

(서울=뉴스1) 양종곤 기자 | 2018-04-03 06:01 송고 | 2018-04-03 09:34 최종수정
편집자주 '청년 실업자 100만명' 청년 실업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지표다. 문재인 정부도 '재난' 수준인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3월 '청년 일자리 대책'에는 중소기업 취업 청년에게 실질소득 1000만원을 지원하는 파격적인 내용이 담겼다. 현재에는 4조원 규모의 추경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평가와 전망은 엇갈린다. 설문조사를 통해 청년 일자리 대책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을 들어봤다.
30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안산올림픽기념관에서 열린 2017 안산-시흥 청년층, 특성화고 채용박람회에서 취업 희망 학생들이 채용공고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 속  행사와 인물은 기사내용과 무관함. )2017.8.30/뉴스1 © News1 오장환 기자
30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안산올림픽기념관에서 열린 2017 안산-시흥 청년층, 특성화고 채용박람회에서 취업 희망 학생들이 채용공고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 속  행사와 인물은 기사내용과 무관함. )2017.8.30/뉴스1 © News1 오장환 기자

청년 실업난의 가장 큰 원인으로 '기업의 높은 취업 문턱'이 1순위로 지목됐다. 일하고 싶은 기업이 부족하다거나 신규 채용 인원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그다음을 차지했다. 실업난 해결을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으로 풀이된다.   
<뉴스1>이 시원스쿨과 지난달 20~28일 20세 이상 성인 남녀 250명을 대상으로 청년 일자리 대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 먼저 구직 활동의 어려운 이유에 대해 54.5%(구직 경험 224명 기준, 복수응답)가 '기업의 높은 취업 문턱'을 꼽았다. 이어 일하고 싶은 기업 부족(34.4%), 기업의 신규 채용 인원 부족(26.3%), 정부의 대책 미흡(12.5%) 순이다. 

학력으로 보면 고등학교 졸업(재학생 포함)이 '높은 취업 문턱'을 고른 비율이 63.6%로 대학원 졸업 이상(재학생 포함)인 55.9%보다 높았다. 학력이 낮을수록 취업 문턱을 높게 느끼고 있는 셈이다.  
    
대기업, 공무원과 같이 소위 '안정적인 일자리' 선호 현상도 여전했다. 취업하기를 원하는 직장(224명 기준)으로 '공공기관'이 35.3%로 1위를, '대기업'이 30.8%로 2위를 기록했다. 

고학력일수록 대기업 선호와 중소기업 기피 현상이 두드러졌다. '대학원 졸업 이상'의 경우 공공기관과 대기업에 취업하겠다고 답한 비율은 총 85.3%에 달했다. 

직장 형태 가운데 3위(24.6%)에 머문 중소기업으로 취업하고 싶다는 비율은 '고졸'이 54.5%로 가장 높았다. '2~3년제 대졸'은 34.6%, '4년제 대졸'은 23.6%, '대학원 졸업 이상'은 2.9%로 학력이 높아질수록 중소기업 선호도가 급격하게 추락했다.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이들이 가장 꺼리는 일 형태는 '창업'으로 9.4%에 그쳤다. 이번 청년일자리 정책의 한 축이 창업 활성화란 점을 감안하면 자칫 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정부는 청년 창업가에게 5년간 법인세와 소득세를 100% 감면하기로 했다.

창업에 나선 청년들은 정부가 일방향적인 지원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조언한다. 현장에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대학교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벤처기업 창업에 나서는 경우가 많지만 초기 실패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라고 지적한다. 기초적인 경영 관련 법률을 숙지하지 못해 곤란한 상황에 빠지는 창업가가 많은 상황에서 '창업 기업 숫자'에만 정책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2년차 벤처창업가 A씨(27)는 "졸업한 대학에서 50곳의 창업을 지원했지만 현재 살아남은 곳은 우리 회사를 포함해 1~2곳뿐"이라며 "실제 경영을 하다보면 낡은 규제가 많고 세제, 노무법을 몰라 위법을 저지를 뻔한 경험을 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학력별 직업교육 변화'를 일자리 대책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중소기업을 이끄는 고졸에 대한 지원을 더욱 늘리고 이들 스스로 중소기업이 떳떳할만큼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가 올해 1월 발간한 '2017 중소기업실태조사결과(제조업)' 보고서에 따르면 직원들 학력은 절반 이상(58.3%)이 고졸이었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장에서 상당수 중소기업은 대졸자가 아니라 고졸자를 원하고 있다"며 "하지만 전체 고등학생 중 직업계고 비율이 1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47%에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 연구위원은 "기업에서 일할 수 있는 인재를 학교가 키워낼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며 "직업계고 비율은 30%까지 늘리고 병역특례, 상급과정(직장) 진학, 내일채움공제 사업 확대 등 학생의 성장 단계별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ggm11@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