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패션업계는 '변신중'…돈 안되는 브랜드 정리 박차+화장품·식품 '다각화'

소비패턴 변화·내수시장 정체 극복 안간힘…온라인·틈새시장 공략 강화

(서울=뉴스1) 정혜민 기자 | 2018-01-31 08:00 송고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패션업계가 수익성이 떨어지는 브랜드를 정리하고 사업 다각화를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특히 패션시장이 SPA와 수입 명품으로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지고 소비 주도권 역시 온라인으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어 '변신'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비효율 브랜드 정리·온라인 유통에 맞춰 콘셉트 재정립

31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패션 대형사들은 비효율 브랜드를 정리하고 일부 아이템은 다른 브랜드에 통합시키는 등 몸집 줄이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동시에 변화하는 유통 트렌드에 맞춰 브랜드 콘셉트를 재정립하는 작업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LF는 남성복브랜드 '타운젠트'를, 2016년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남성 캐주얼 브랜드 '엠비오' 영업을 중단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도 '바나나리퍼블릭' 직수입을 지난해 종료했다. 바나나리퍼블릭은 2007년 론칭했지만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패션기업 세정도 아웃도어 브랜드 '센터폴' 매장 철수를 다음 달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세정 관계자는 "철수를 진행 중인 '센터폴' 브랜드는 없어지지만 일부 아이템은 세정 웰메이드 내 다른 브랜드에 통합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한섬은 해외라이선스 종료가 다가온 '랑방스포츠', '랑방액세서리', '버드바이 쥬시꾸뛰르' 등을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아울러 '이치아더', '일레븐티', '벨스타프' 등 직수입 브랜드 철수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FnC부문은 중저가 남성복 브랜드 '브렌우드', '지오투', '스파소'의 상품 라인과 유통 전략을 다시 짰다. 이들 브랜드는 2000년 초 급격히 늘어나는 대형마트를 공략하기 위해 탄생했다. 당연히 유통 역시 대형마트를 위주로 이뤄졌다. 하지만 이제 브렌우드와 지오투는 몰과 아울렛 중심으로, 스파소는 온라인 중심으로 유통 채널을 바꾸기로 했다.  

또 중저가 남성복이라는 폭넓은 카테고리에서 경합하던 브렌우드와 지오투의 경우 다음 달 중순부터 각각 남성 정장·비즈니스캐주얼과 남성 캐주얼로 브랜드를 세분화하기로 했다. 스파소는 올 하반기부터 온라인에 맞춰 상품 구성에 변화를 줄 예정이다.

LF는 세컨 브랜드를 온라인 전용 브랜드로 전환하고 백화점 채널에서는 메인 브랜드에 힘을 쏟기로 했다. '질스튜어트'의 세컨 브랜드인 '질바이질스튜어트'와 '마에스트로'의 세컨 브랜드 개념인 '일꼬르소'를 백화점 매장에서 철수시키고 온라인에서만 유통하기로 했다.

LF 관계자는 "과거에는 세컨 브랜드를 통해 메인 브랜드의 감성을 유지하면서도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사려는 수요가 있었다"면서 "최근에는 저렴한 가격을 원하는 수요가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등 소비패턴이 변화했다"고 설명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 화장품 브랜드 비디비치 화보 이미지. © News1
신세계인터내셔날 화장품 브랜드 비디비치 화보 이미지. © News1

◇화장품, 식품,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등 비(非)패션 부문 강화

패션업체들은 다른 분야로도 눈을 돌리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이 대표적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 화장품 사업 진출 5년 만에 흑자에 성공했다. 지난해 화장품 사업 매출은 627억원, 영업이익은 57억원을 기록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면세 사업 확장과 신제품 개발을 통해 2020년까지 화장품 사업에서 매출 2000억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화장품 사업이 예상보다 빠르게 흑자로 돌아서면서 패션·리빙과 함께 지속 성장을 위한 든든한 성장동력을 갖게 됐다고 강조했다.

차정호 신세계인터내셔날 대표이사는 "현재도 패션의 비중이 크지만 앞으로 화장품 사업을 패션에 버금가는 규모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신세계인터내셔날은 2000년부터 가구, 주방·욕실용품, 침구 등을 판매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자주'를 운영하고 있다. 

LF는 비패션 분야를 강화하면서 기업의 정체성을 패션 기업이 아닌 '생활문화기업'으로 전환하고 있다. LF는 외식·주류·화장품·방송·콘텐츠 사업에 숙박·호텔사업까지 잇따라 진출하고 있다. 

LF는 2007년 자회사 LF푸드를 설립하고 씨푸드뷔페 '마키노차야'와 일본라멘 전문점 '하코야' 등 프렌차이즈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주류유통업체 '인덜지', 일본 식자재업체 '모노링크', 유럽 식자재업체 '구르메F&B'를 인수하고 2015년에 인수했던 국내 베이커리업체 '퍼블리크' 지분을 확대했다.

또 LF푸드 대표이사를 LF 구본걸 회장 동생인 구본진 대표에서 전문경영인 윤종국 대표로 교체하며 전문성을 강화했다. 윤 대표는 SPC그룹의 식자재 유통 계열사 SPCGFS의 사업본부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2016년에는 네덜란드 화장품 브랜드 '그린랜드'를 국내 론칭하고 2개월 만에 서울 청담 거리에 프랑스 화장품 브랜드 '불리 1803' 플래그십숍을 열어 화장품 유통업에도 진출했다. 2017년에는 프랑스 힐링 화장품 브랜드 '그라네파스텔'도 국내 론칭하는 등 화장품 사업 확장에 적극적이다.

아울러 2015년에는 패션전문채널 '동아TV'를, 지난해에는 여행전문채널 폴라리스 TV를 인수하면서 방송업에도 뛰어들었다. 또 온라인유통 전문기업 '트라이씨클'을 인수해 'LF몰'과 함께 자체 유통망도 강화하고 있다.

LF 관계자는 "국내 내수 시장의 성장성에 한계가 있다"며 "의류 쪽으로는 해외 시장을 모색하고 있고 내수 시장에서는 식자재, 외식, 화장품, 방송 등 사업을 다각화하면서 '생활문화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레드페이스 안전화 3종. © News1
레드페이스 안전화 3종. © News1

◇틈새시장 공략…유니폼·안전화·양말 시장 진출하기도

자사의 노하우, 기술, 인프라를 적극 활용한 새 브랜드나 아이템을 출시하면서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경우도 있다.

패션그룹형지는 지난해 10월 유니폼 브랜드 '윌비'를 론칭했다. 가격 경쟁에 치우친 단체 유니폼 시장에서 품질과 디자인으로 승부하는 동시에 형지의 소싱 인프라를 통해 가격경쟁력까지 놓치지 않겠다는 전략이다.

형지는 "기능성 기반 가치를 더한 유니폼에 대한 요구가 생겨나고 있다"며 "유니폼 시장의 포화기에 차별적 디자인과 품질로 근무복 시장의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한다"고 밝혔다.

아웃도어 브랜드 레드페이스는 등산화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산업 안전화 시장에 진출했다. 안전화는 등산화와 모양은 비슷하지만 발을 보호하기 위한 특수 기능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기술력이 생명인 상품군이다.

지난해 10월 안전화 3종을 처음 선보인 뒤 한 달 만에 3000족 이상 판매하며 안정적으로 시장에 진입한 모습이다.

밀레에델바이스홀딩스는 양말 브랜드 '스테이골드'를 론칭했다. 밀레의 전신인 한고상사의 노하우를 활용한 것이다. 한고상사는 1966년 수제 등산 양말로 사업을 시작했었다.


hemingway@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