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사우디는 부패 척결 운동에서 한국을 배워야"

사우디의 저명 언론인 카쇼기, WP 기고문

(서울=뉴스1) 최종일 기자 | 2018-01-09 14:32 송고
사우디아라비아 왕실 인사들. <자료사진> © AFP=뉴스1
사우디아라비아 왕실 인사들. <자료사진> © AFP=뉴스1

부패 척결 운동에서 사우디아라비아는 한국으로부터 배울 것이 있다고 사우디의 저명 언론인 자말 카쇼기가 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기고문에서 지적했다.

카쇼기는 사우디가 지난해 가을 미래형 신도시 '네옴'(NEOM) 건설 계획을 발표하면서 전 세계를 매혹시켰는데 이 같은 분위기는 약 일주일 뒤에 수십명 왕족과 전현직 정부 관리들이 부패 혐의로 리츠칼튼 호텔에 구금되면서 사라졌다고 전했다.
카쇼기는 몇몇은 막대한 돈을 내고 풀려났는데 "정의의 실현이라기보다는 갈취에 가까웠다"고 진단했다. 또 "정부가 일부 민간 기업을 정부가 운용하는 국부펀드(PIF)의 관리 하에 둘 것이란 루머도 돌고 있다"고 비판했다.

카쇼기는 막무가내식의 반부패 활동은 "기업과 정부를 더 얽히게 하고 사우디 경제가 최대 잠재력을 발휘하는 것을 막는다"고 지적하며 왈리드 빈 탈랄 왕자의 킹덤홀딩스의 주가가 그의 체포 이후 21% 이상 급락한 사실을 상기시켰다.

그는 1970년대 '오일 붐' 이후 현대 사우디 경제에서 기업인들은 핵심적인 역할을 했고, 이 과정에서 이들은 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고 전하면서, 급속한 발전에 따라 사우디의 알사우드 왕가를 비롯해 사회 모든 계층이 자유로울 수 없는 부패가 만연하게 됐다고 전했다.
그는 현재, 왕족과 유명 기업인들을 타깃으로 한 결함투성이의 반부패 운동으로 "잃어버린 것은 기업 선구자들에 대한 평가, 그리고 보다 중요한 것은 경제 성장과 다변화에서 이들의 역할"이라고 지적했다.

카쇼기는 그러면서 한국의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정경유착은 사우디만의 문제는 아니다.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의 놀라운 몰락으로 한국의 유사한 시스템도 노출됐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 전쟁이 끝난 뒤 박 전 대통령의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은 국가 재건을 위해 싼 이자와 독점적 특혜로 기업인들과 자본가들을 회유했으며, 그 대가로, 기업 수익을 공유했다"며 "이 전략으로 재벌이 출현했고 이들 기업은 한국을 재건했고, 세계무대에서 산업 거인이 됐다"고 평가했다.  

카쇼기는 "(하지만) 한국은 부패 사건을 완전히 다르게 취급했다. 대통령 재판은 법원에서 공개적으로 진행됐다. 관련 기업들은 박 전 대통령의 퇴출과는 분리됐다"며 "일상적 금융 활동과 수익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박 전 대통령 퇴임 뒤에, 한국의 규제 당국은 박 대통령의 퇴진이 시장 안정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그는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가 부패를 제대로 척결하기 위해선, 사우디 경제에 핵심적인 두 요소를 지켜야 한다 "며 기업인들이 정부에 대한 신뢰를 갖도록 하고, 정부는 기업의 역할을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쇼기는 그러면서 "부패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법률이 제정돼야 하는데 왕족들은 자신의 이름과 정부 직책을 버리지 않는 한 경영에서 손을 떼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반부패 활동은 투명성을 갖춰야 하고, 모든 사우디 시민들에게 법이 적용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allday33@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