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노무사·변호사들, 오픈카톡방에서 '직장갑질119 캠페인'

무료 노동상담, 업종별 모임 장려해 '노조' 역할
직장인 31.5% "직장 내 불합리 행태 심각 수준"

(서울=뉴스1) 김다혜 기자 | 2017-11-01 12:57 송고
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직장갑질 119 출범' 기자회견에서 직장갑질 119 회원들이 회사의 부당한 대우를 규탄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있다.  2017.11.1/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직장갑질 119 출범' 기자회견에서 직장갑질 119 회원들이 회사의 부당한 대우를 규탄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있다.  2017.11.1/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네까짓 게 뭔데 나대느냐' '이대로 그만두면 방송판 좁아서 어디서도 일 못 한다' '후임 구해놓고 나가는 거 아니면 고소할 거다' 식의 폭언까지 들으며 일합니다 … 심지어 한 달 일한 대가로 상품권 40만원을 받는 작가도 있습니다." 
비정규직 막내 방송작가로 일했던 황민주씨(28·여)의 말이다. 노무사·변호사 등 수백명이 이같은 직장 내 '갑질'과 부당대우를 바로잡기 위한 사회적 캠페인을 시작한다. 온라인 모임을 통해 문제를 공유하고 집단대응을 추진할 방침이다.

'직장갑질119(갑질119)'는 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직장갑질 고발운동'과 '직장 바꾸기 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갑질119는 "직장갑질은 직장을 옮겨도 같은 업종이라면 불이익을 각오해야 하기 때문에 신고가 어렵고, 한곳에 모여 일하지 않는 서비스업종 종사자가 늘면서 사업장을 중심으로 노조를 만드는 일이 어려워졌다"며 온라인 운동에 나선 취지를 설명했다.

노무사 148명·변호사 66명·노동전문가 27명으로 구성된 갑질119 스태프는 우선 전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gabjil119.com)을 운영한다. 동시에 같은 일을 하는 직장인들이 업계의 부당관행을 고발하고 자료를 모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밴드·카카오톡을 통한 직종별 모임 구성을 장려한다.
직장인들은 오픈채팅방에서 익명 또는 실명으로 직접 겪은 갑질 사례를 고발하거나 노동상담을 받을 수 있다. 언론 제보나 소송을 원하는 경우 스태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갑질119는 만화제작 등을 통해 캠페인을 홍보할 계획이다.

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직장갑질 119 출범' 기자회견에서 직장갑질 119 회원들이 직업환경 조사를 발표하고 있다. 2017.11.1/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직장갑질 119 출범' 기자회견에서 직장갑질 119 회원들이 직업환경 조사를 발표하고 있다. 2017.11.1/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이날 갑질 119는 여론조사기관 한국씨앤알에 의뢰해 만 15~45세 직장인 710명을 대상으로 직장만족도와 직장갑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도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가운데 31.5%는 직장 내 불합리 행태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3년간 경험한 직장내 불합리 유형으로는 △업무에 비해 사람이 적다(60.8%) △추가근무 수당이 없는 경우가 많다(51.5%) △하는 일보다 임금을 적게 준다(49.9%) 를 꼽은 사람이 많았다.

또 △계약시간보다 근무를 더 많이 시킨다 (46.5%) △제대로 된 교육·정보 없이 업무에 투입한다(46.3%) △휴가를 제때 쓰지 못한다(45.5%) △퇴근시간에 업무를 부여하거나 기한이 촉박하게 업무를 지시한다(43.8%)는 것도 빈번한 불합리 행태로 꼽혔다.

그 밖에 △반말·욕설 등 인격무시와 언어폭력을 받는다(21.7%) △상사로부터 해고하겠다는 위협을 받는다(12.1%) △신체폭력을 받았다(6.8%) △고용주나 상사의 성희롱·성폭력이 있다(9.4%) △폐쇄회로(CC)TV, 화장실 통제 등 감시와 통제가 심하다(13.2%)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불합리한 대우를 받았을 때 대응으로는, '참거나 모른척 했다(41.3%)고 답한 응답자가 개인적 또는 직장 동료와 함께 항의하거나 관련 기관에 신고했다(39.4%)보다 많았다. 모른척 한 응답자 중 65.5%는 '대응해도 나아질 것 같지 않아서' 34.1%는 '향후 인사 등에 불이익을 당할 것 같아서'를 이유로 꼽았다.


dhk@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