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인터뷰] "PEF는 자본이 땀 흘려 수익 내게 하는 겁니다"

'스튜어드십코드 1호' 정장근 JKL파트너스 대표
"하림과 팬오션 공동 인수…2년 연속 흑자·부채비율↓"

(서울=뉴스1) 김태헌 기자 | 2017-05-26 06:15 송고
25일 오전 서울 강남구 도심공항타워에서 JKL파트너스 정장근 대표이사가 뉴스1과 인터뷰에 앞서 사진촬영에 임하고 있다. 2017.5.25/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25일 오전 서울 강남구 도심공항타워에서 JKL파트너스 정장근 대표이사가 뉴스1과 인터뷰에 앞서 사진촬영에 임하고 있다. 2017.5.25/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스튜어드십 코드요? 저흰 이미 그대로 하고 있었습니다. 도입 안 할 이유가 없죠."

지난 24일 한 사모펀드(PEF)가 국내 기관투자자 중 처음으로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했다. 제정 이후 5개월 동안 단 한 곳도 참여하지 않았던 스튜어드십 코드에 돌연 뛰어든 이유가 궁금했다. 정장근 JKL파트너스 대표는 "(특별한) 계기는 없다. 당연히 지키고 있던 업무 방침을 잘 정리했을 뿐이다"고 말했다.
스튜어드십 코드는 연기금이나 자산운용사 등 기관들이 투자한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지침이다. 집안일을 맡은 집사(스튜어드·steward)처럼 맡은 고객 자산을 꼼꼼히 관리해야 한다는 뜻이다.

"미국에선 PEF를 '자본이 땀을 흘려 수익을 내도록 만든다'고 설명해요. 운용사는 투자한 기업이 제대로 경영하도록 끊임없이 점검하고 살펴야 합니다. 저흰 투자한 기업과 수개월 동안은 매주 미팅을 합니다. 소통이 가장 중요하죠."

정 대표는 지난 2001년 7월 친한 후배 두명과 사모펀드를 만들었다. 3명의 성씨 이니셜(정·김·이)을 따 회사 이름은 JKL파트너스로 지었다. 망가진 기업의 경영권을 산 뒤 구조조정을 통해 경영을 정상화시키는 '바이아웃형' 투자를 주로 한다. 2014년 말 하림그룹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운업체 팬오션을 인수해 정상화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JKL파트너스는 현재 팬오션 지분의 12.72%를 가진 2대 주주다.

컨소시엄은 팬오션의 재무구조부터 뜯어고쳤다. 고금리로 빌린 4000억여원을 리파이낸싱(저금리 부채로 전환)해 금융비용을 확 줄였다. 유능한 영업 담당 부사장을 새로 선임하고 '캐시카우' 노릇을 톡톡히 하던 선박관리 부문을 STX그룹으로부터 인수하는 등 구조개편도 단행했다.
성과는 빛났다. 팬오션의 부채비율은 2015년 1분기 202.7%에서 최근(2017년 1분기) 70.6%로 확 줄었다. 지난해 실적은 매출 1조8739억원, 영업이익 1679억원으로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부채비율이 떨어지고 실적이 좋아지니 자연스레 주가가 올랐다. 2년 전 2000원대였던 팬오션 주가는 최근 5000원대로 뛰었다. 같은 기간 경쟁사 한진해운은 정상화에 실패해 상장 폐지됐다.

◇"손에 피 묻더라도 기업 살리는 게 PEF…부정적 인식 재평가"

"기본적으로 투자 철학의 문제라고 생각해요. 우리는 투자한 기업의 재무구조나 영업지표에 문제가 생기면 가만 안 둬요. 나빠진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법을 마련하라고 계속 요구하죠. PEF는 손에 피와 흙을 묻혀서라도 기업을 정상화시켜야 하는 기업이니까요."

정 대표는 '손에 피 묻히기'를 감수하는 국내 기관들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대부분 기관이 펀더멘털과 상관없이 떠오르는 업종·분야에 편승해 과실을 챙기는 '모멘텀 투자'를 해 왔다는 얘기다. '경영이 나빠져도 팔면 그만'이라는 인식이라면 경영 참여에 따른 수고를 감수하기는 힘들다.

정 대표는 '1호 도입'이라는 타이틀이 부담스럽다고 했다. 새 정부에 코드 맞추기를 한 게 아니냐는 시선 때문이다. 그는 "지난 2~3개월 동안 준비해 상반기 안에 도입하는 게 원래 계획이었다"며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은 옳은 길이다. 다른 기관들도 곧 참여대열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모펀드의 재평가가 이뤄지길 바란다는 뜻도 내비쳤다. PEF나 구조조정에 대해 좋지 않은 정서가 오해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정 대표는 "개별 기업이 스페셜리스트라면 다양한 투자 경험이 있는 PEF는 제너럴리스트"라며 "기업 경영진이 놓치는 부분을 바로잡는 게 우리가 하는 일"이라고 했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PEF 규제 체계를 큰 폭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이나 수출입은행 등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기업 구조조정 기능 일부를 시장(PEF)으로 넘기겠다는 취지다.


solidarite4u@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