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대선주자·의원·지자체장 "지방분권개헌 실현" 한 목소리

대구 결의대회 5천명 참석…"이제는 지방시대"

(대구ㆍ경북=뉴스1) 이재춘 기자, 정지훈 기자 | 2017-03-03 16:29 송고
3일 '지방분권 개헌 대구결의대회' 참석자들이 '분권 개헌 추진'을 다짐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최백영 대구지방분권협의회장, 김형기 지방분권개헌국민행동 상임의장, 권영진 대구시장을 비롯해 이철우·윤재옥·원유철(자유한국당)·김부겸(더불어민주당)·홍의락(무소속)·주호영·유승민(바른정당) 국회의원과 남경필 경기도지사, 대구·경북 시·도민 5000여명이 참석했다. /© News1
3일 '지방분권 개헌 대구결의대회' 참석자들이 '분권 개헌 추진'을 다짐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최백영 대구지방분권협의회장, 김형기 지방분권개헌국민행동 상임의장, 권영진 대구시장을 비롯해 이철우·윤재옥·원유철(자유한국당)·김부겸(더불어민주당)·홍의락(무소속)·주호영·유승민(바른정당) 국회의원과 남경필 경기도지사, 대구·경북 시·도민 5000여명이 참석했다. /© News1

중앙에 집중돼 있는 재정·인사·조직 등의 권한과 자원을 지방으로 분산하자는 지방분권개헌 결의대회가 3일 대구에서 열렸다.

이날 오후 2시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결의대회에는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 원유철 자유한국당 의원,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 대선주자들과 지방자치단체장, 여·야 국회의원, 시·구·군의회 의원, 지방분권개헌국민회의, 지방분권운동대구경북본부, 각계 시민 등 5000여명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한 목소리로 "직면한 국가 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고, 지방분권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번 기회에 반드시 지방분권개헌을 실현시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지금 대한민국은 과도한 중앙집권 중심의 국정운영으로 국가 전체가 총체적 난국에 직면해 있다"며 "국민이 진정한 주인이 되는 국민주권시대, 지방의 힘이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지방분권시대를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지방분권개헌을 위한 결의문'을 통해 "국회 개헌특위와 여·야 정치권이 진정한 국민주권시대를 열어갈 지방분권개헌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유 의원과 원 의원, 남 지사 등은 "여·야 정치권에서 집중 논의되고 있는 대통령제 권력구조개편 개헌 논의 보다 지방자치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국가 대개조 차원의 지방분권형 개헌이 지방을 살리고 대한민국을 살리는 것"이라고 했다.

결의대회에 참가하지 못한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도지사, 김관용 경북도지사, 홍준표 경남도지사, 원희룡 제주도지사 등은 지방분권개헌을 지지하는 영상메시지를 보냈다.

박 시장은 영상메시지에서 "진정한 국민주권시대, 국민이 주인인 시대를 열어야 한다. 분권과 자치, 협치와 소통이 필요하다"고 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금이야말로 새로운 시대정신으로 부상하고 있는 국민주권 지방분권을 실현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다. 대한민국은 지방분권 국가임을 선언한다"고 했다.

최백영 대구시지방분권협의회장은 "요즘 탄핵 정국을 바라보는 민심과 국민의 마음은 착잡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생각하면 억장이 무너지고 가슴이 아프다. 우리나라는 초중앙집권 체제로 지방은 무너지고 불행한 대통령은 계속 속출되고 있어 국민이 더 좌절하고 우울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때문에 국정의 패러다임을 바꾸라는 요구가 나오고, 그것이 지방분권 개헌을 해달라는 것이다. 정치권에서 정권욕에 눈이 어두워 이를 외면한다면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고 우리 국민은 국회를 탄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다시 일고 있는 지방분권개헌운동은 2002년 대구에서 불이 붙었다.

대구시는 2011년 전국 처음으로 '지방분권촉진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데 이어 2012년 대구시지방분권협의회를 창립하고 2015년 대구 8개 구·군에서도 잇따라 지방분권조례를 만들었다.

지난해에는 11월7일 광역·기초 분권협의회가 연대한 대구시지방분권협의회를 출범시키는 등 전국의 지방분권운동을 이끌고 있다.


daegurain@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