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산유량 동결 새로운 훼방꾼…이란·사우디 아닌 "이라크"

사우디·이란 도하 때와 상황 달라져…이라크는 증산 원해

(서울=뉴스1) 이정호 기자 | 2016-08-29 15:10 송고 | 2016-08-29 15:47 최종수정
이라크 남부지역의 유전. © AFP=뉴스1
이라크 남부지역의 유전. © AFP=뉴스1
다음 달 알제리에서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비공식 회담이 예정된 가운데 이번엔 이라크가 산유량 동결 합의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줄리안 리 블룸버그 원유 애널리스트는 28일(현지시간) 아직 산유량을 끌어올리지 못한 이라크가 증산을 원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지난 4월 러시아와 OPEC 회원국들이 만난 카타르 도하 회담에서 훼방꾼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이었다. 당시 사우디는 "이란이 합의에 참여하지 않으면 감산은 없다"라고 재차 강조하며 합의에 찬물을 끼얹었다. 이란 또한 "서방의 경제제재 이전 수준의 산유량을 회복하기 전에는 합의에 참여할 수 없다"며 사우디에 맞섰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재 사우디와 이란의 상황이 달라졌다고 입을 모은다. 이에 이들이 산유량 상한선 설정 논의에 비교적 협조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다만 이번엔 '이라크'가 변수로 지목됐다.

먼저 사우디는 지난 몇 달간 지속적으로 산유량을 '최대치'로 끌어 올린 상태이다. 일례로 사우디 정부는 지난달 하루 평균 1067만배럴을 생산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사우디가 이번 회의에서 최소한 일시적으로라도 생산량 상한선 설정에 동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다음 달부터 사우디 국내 수요도 떨어지는 시기를 맞이한다는 점도 산유량 동결 합의에 큰 부담을 느끼지 않게 될 요인으로 꼽혔다. 
 
이란 또한 그동안 사우디, 이라크가 참여하지 않는 한 감산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러한 이란의 반대 명분이 점점 더 설 자리를 잃고 있다고 진단한다.
이란은 이달 말까지 하루 평균 400만배럴을 생산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란이 곧 '추가 투자 없이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산유량'에 직면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이에 투자 확대를 통해 증산 여력을 마련하기 전까지 사우디와의 산유량 동결에 합의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따라서 이번 합의의 훼방꾼은 이라크가 될 공산이 크다. 실제로 자바르 알루아이비 신임 석유장관은 취임 직후 이라크 남부지역에 위치한 BP, 셸, 루코일, CNPC와 같은 원유업체들에게 투자를 다시 늘려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증산을 위해서다.

이에 리 애널리스트는 "다음 달 OPEC 회원국과 러시아가 산유량을 동결을 합의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을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jh.lee@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