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산업 >

2026년까지 AI 전문기업 1000개 키운다

[9대 국가전략]국방·치안·노인복지 등에 AI 활용

(서울=뉴스1) 박희진 기자 | 2016-08-10 15:42 송고
© News1
© News1


정부가 2026년까지 인공지능(AI) 전문기업 1000개를 육성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AI기술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다.  
정부는 10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를 선정·발표했다. 

현재 AI기술은 언어⋅영상인지, 학습⋅지식축적, 추론 등 기술별로 나눠져있다. 알파고도 바둑에 국한된 AI다.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AI는 인간과 같은 수준의 인지와 추론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정부는 현재 언어·추론 등 요소기술별로 제한된 기술수준을 극복해 'AI 공통 플랫폼' 개발에 단계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우선 언어·시각·음성 이해 플랫폼을 2018년까지 개발하고 2021년까지 AI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2026년까지 AI복합지능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전세계 비디오의 지식을 학습해 영상 복잡도 단계별로 비디오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는 인간 수준의 AI도 개발한다. 비디오 튜링 테스트는 기계가 인간과 얼마나 비슷하게 생각하고 대화할 수 있는지 판별하는 실험으로 AI의 수준의 가늠하는 기준이다.
현재 전세계는 제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으로 전 산업의 지능화에 주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AI 분야의 핵심 기술과 제품·서비스 개발 수준이 아직 초기단계로 인적·산업적 기반도 미미한 실정이다. 선진국 대비 2.4년의 기술격차가 있다.

정부는 국내 AI 분야 기술력을 미국 등 선도국 대비 2015년 기준 70.5%에서 2026년 10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10년후면 선진국과 맞먹는 기술수준을 확보하게 된다는 뜻이다.

또 AI 산업 자체의 발전과 함께 AI의 각 산업간 융합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소프트웨어(SW) 기업의 AI기업으로 전환, AI스타트업 창업 등을 통해 AI 전문기업을 2019년 100개에서 2022년 300개, 2016년 10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공공분야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AI를 공공분야에 선도적으로 적용해 민간의 AI 도입 수요를 창출할 방침이다. 

우선 국방 분야로 철책선, 주요 군사 시설 등에서 적병, 수상한 물체 등을 자동 탐지·분석 가능한 ‘국방 경계 시스템’ 구축하는데 AI를 활용할 방침이다. 향후 가속화될 군 병력 감소 문제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이다.

범죄⋅테러 신속대응 시스템, CCTV에서 이상행동 식별 등 안전문제와 헬스케어, 맞춤형 대화 등 노령층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 돌보미 로봇' 개발 등 복지분야에도 AI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한 '사업단' 내 미래부, 국방부, 산업부, 경찰청 등으로 '다부처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할 방침이다. 또 AI를 정밀의료, 미세먼지, 자율주행차 등 여타 국가전략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위한 부처간 협력체계 운영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2brich@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