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금융안정 보고서]①은행 여신관리 '뒷북'…사전 관리 필요

존속가능성 의무 기업도 이자만 내면 70% '정상' 분류

(서울=뉴스1) 전보규 기자 | 2016-06-30 12:00 송고
© News1
© News1

국내 은행들의 여신관리가 사후적 경향이 강해 사전적 관리로 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당장 이자 연체에 국한되지 말고 부실 가능성 등을 고려한 여신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은행들은 부실 우려 기업 여신의 57~88%를 정상으로 분류하고 있다. 회계감사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돼 존속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 기업도 70% 이상 정상여신으로 분류돼 있었다.

자본 완전잠식 또는 한계기업이면서 영업활동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기업을 부실 우려가 큰 기업으로 분류했다.

은행은 여신에 대한 건전성을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등 5단계로 분류한다. 정상에서 추정손실로 갈수록 부실하다는 의미다.

은행들은 저신용등급이라도 담보가 있으면 중신용등급으로 분류하는 경향도 보였다.

은행의 자체 신용평가모델을 이용한 중소기업 대출의 신용등급구성을 보면 저신용등급 기업에 대한 대출 비중이 줄어들고 있지만, 신용평가사가 평가한 저신용등급 대출 비중은 오히려 상승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한은은 "담보를 기업대출 신용평가의 중요한 판단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러한 담보 위주의 여신심사 관행은 기업의 신용위험을 과소평가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 News1
© News1

이 같은 여신 건전성 관리 관행으로 연체기업 대부분이 연체 이전부터 재무지표가 악화하고 있었다. 연체 시점에서는 67%가 자본잠식 상태였다.

국내은행 기업여신의 부실채권비율(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올해 3월 말 현재 2.6%로 2011년 3월 말(2.8%)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라갔다.

시중은행은 1.8%로 양호했지만, 특수은행이 2014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면서 3.5%까지 치솟았다. 업종별로는 조선과 철강, 건설 등 취약업종의 부실채권비율이 높았다.

대규모 기업집단에 대한 대출이 계속 늘면서 거액여신 편중리스크가 특수은행을 중심으로 2013년 이후 가파르게 증가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중소기업여신에서는 부동산업 및 임대업의 개인사업자대출이 크게 늘어 업종 편중도가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한은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손실 확대 가능성이 있고 세계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 기업대출의 부실 가능성을 조기에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기업신용위험평가를 강화해 이자를 연체하기 전부터 여신을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jbk8801@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