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고객정보 팔아먹은 홈플러스…국민 절반이 당했다

2400만건 보험사에 넘겨 230억 부당이득…경품 당첨자 조작에 납품업체엔 갑질까지

(서울=뉴스1) 류정민 기자 | 2015-02-01 14:39 송고 | 2015-02-02 08:04 최종수정
뉴스1 © News1
뉴스1 © News1

홈플러스가 경품을 미끼로 고객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보험사에 팔아 막대한 수익을 챙긴 것으로 드러나면서 기업의 도덕성이 다시 한 번 도마위에 올랐다.

홈플러스는 지난해부터 경품과 관련해 개인정보 유출뿐만 아니라 당첨자 조작, 당첨 상품 미지급 등의 정황이 속속 세간에 알려지면서 신뢰성이 바닥으로 떨어져 있다.  

더구나 홈플러스는 납품업체에 대한 갑질 논란에도 휩싸여 있고 동반성장지수도 3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 기업의 윤리 경영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는 지적과 함께 진정성 있는 사과와 쇄신이 요구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대한민국 인구 절반 2400만 건 개인정보로 장사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은 회원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하고 보험사에 판매한 혐의(개인정보법 위반 등)로 도성환(60) 사장과 김모(61) 전 부사장 등 전·현직 홈플러스 임직원 6명 및 홈플러스 법인을 불구속 기소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합수단 조사결과에 따르면 도 사장 등 홈플러스 임직원들은 2011년 말부터 작년 7월까지 11차례에 걸쳐 진행한 경품행사에서 고객들의 개인정보 712만건을 부당하게 입수해 보험사 7곳에 판매하고 148억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더구나 경품 응모 고객 뿐만 아니라 이미 확보한 회원 개인정보 1694만건을 고객동의 없이 보험사 2곳에 팔아넘기고 83억5000만원을 챙긴 혐의도 함께 받고 있다.

홈플러스는 경품행사와 기존 정보를 합쳐 총 2400만건의 개인정보를 보험사에 팔아 231억7000만원의 불법적인 수입을 올렸다. 유출된 정보건수는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와 맞먹는다. 통계청이 조사한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는 2014년 12월말 기준 2627만명이다. 

합수단은 이번 발표에 앞서 작년 9월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홈플러스 본사를 추가 압수수색했고 그해 12월에는 도성환 사장과 이승한(68) 전 회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 바 있다.

합수단 관계자는 "홈플러스로 인해 대다수 국민들의 개인정보가 보험회사로 유출된 것"이라며 "이로 인해 국민들이 보험회사의 스팸성 전화로 정신적 육체적 고통에 시달렸다"고 말했다.   

이 기업은 고객 개인정보의 불법적인 유출 뿐만 아니라 경품 행사의 조작과 경품 미지급 등으로도 구설수에 올라왔다.

한 예로 홈플러스는 2013년 말 12월 26일부터 2014년 2월 9일까지 2캐럿 다이아몬드 링, 신형 제네시스 승용차, 신라호텔 숙박 및 스파패키지 등 수천만원 상당의 경품을 내걸고 고객이벤트를 열었다. 하지만 이번 합수단 조사결과 1등과 2등 당첨자는 자신이 당첨된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

당첨이 되면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알려준다며 연락처를 적도록 했지만 문자메시지를 보낸 사실도 없었다. 당첨 사실을 어렵사리 알아내 연락을 취해도 경품 대신 홈플러스 상품권 등 다른 물품을 주고 끝낸 경우도 있었다고 합수단은 설명했다.

이처럼 최근 수년간 '연락 두절'을 이유로 홈플러스가 고가의 경품을 당첨자에게 지급하지 않은 경우가 수차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2012년에는 수입 자동차를 1등 경품으로 내건 행사를 하면서 직원이 추첨을 맡은 위탁업체에 자신의 친구가 1등에 당첨되도록 프로그램 조작을 요구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성환 홈플러스 사장이 지난해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대기하고 있다. 2014.10.20/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홈플러스, 동반성장지수도 3년 연속 최하위

홈플러스는 동반성장지수에서 3년 연속 최하위 등급에 선정된 불명예도 안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야당 간사인 백재현 의원이 '2011~2013년 홈플러스 동반성장지수 평가'를 자체 분석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판촉행사 진행시 남품업자와의 공정한 협의 절차 운영 미흡 △현금결제율 개선 △대금지급기일 단축 등의 항목이 3년 연속 지적됐지만 시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납품업자 선정 기준 및 절차 △매장 내 위치 이동 등과 관련한 기준 절차 △공정거래 사전 예방 및 감시시스템 운용 미흡도 2년 연속 지적됐다.

홈플러스는 납품업체에 판매 마진을 올릴 테니 납품 단가를 내리라고 통보하는 내용의 이메일이 공개되며 갑질논란에도 휩싸여 있다.

2013년 국정감사에서는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보호하려는 정부 정책 방향과 달리 반대로 신규 매장 늘리기에 치중한다는 이유로 질타를 받기도 했다.

홈플러스의 지분 100%를 보유한 영국 소재 테스코(Tesco) 본사도 분식회계로 기업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테스코는 지난해 상반기 40년만에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고 4600억원 규모의 대규모 분식회계가 들통나면서 주가도 곤두박질쳤다.

테스코가 실적개선과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 사업구조조정에 나서면서 한때 홈플러스 매각설이 불거지기도 했다. 데이브 루이스(Dave Lewis) 테스코 회장이 이달 초 기업 설명회를 열고 해외 사업을 당분간 매각할 계획이 없다고 밝히면서 홈플러스 매각설은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 앉아 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경품 미지급과 고객들의 소중한 개인정보와 관련해 심려를 끼쳐드려 대단히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경품 미지급에 대해서는 지급을 완료했고 윤리의식 강화를 위한 교육을 대대적으로 진행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보 수집 과정에 대해서는 일부 억울하는 입장도 덧붙였다.

홈플러스 측은 "법령 및 업계 보편적 기준에 부합하는 문구로 고객 동의를 받은 부분과 업계에서 유사하게 진행하는 마케팅 활동을 범죄행위로 보는 부분에 대해서는 재판과정을 통해 성실히 소명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